문화부

오현주

기자

시계 앞자리 뒷자리 일전
'키아프리즈'보다 뜨겁다… 콧대 높은 가고시안까지 나선 '장외전'
시계 앞자리 뒷자리 일전
대작 없고 갤러리 줄어도…키아프·프리즈 '우아한 혈전' 개막
동그라미별표
시계 오래됨
때론 나무숲처럼 방어벽 쌓고 때론 물방울처럼 튀어 흩어져 [e갤러리]
시계 오래됨
세상에 어디 허투루 피는 꽃이 있더냐
시계 오래됨
자동차·테마파크 이어 오피스텔까지…'예술'이면 다 판다

더보기

e갤러리 +더보기

  • 때론 나무숲처럼 방어벽 쌓고 때론 물방울처럼 튀어 흩어져 [e갤러리]
    때론 나무숲처럼 방어벽 쌓고 때론 물방울처럼 튀어 흩어져
    오현주 기자 2024.07.24
    전지현 ‘보이지 않는 세계’(2024 사진=갤러리이즈)[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잠시 머뭇거릴 수밖에. 길게 죽 뻗은 기둥이 줄지어 눈앞을 가로막고 있으니 말이다. 얇은 틈조차 내지 않고 서로 밀착한 채다. 어디 울창한 나무숲이라도 되려나. 하지만 이조차 추측일 뿐, 그림 어느 부분에서도 확실한 사인은 없다. 게다가 이렇게까지 다 꺼내놓고선 말이다. ‘보이지 않는 세계’(Invisible World·2024)란다. 도대체 저 안에 어떤 세계를 또 숨겨놨길래. 다소 섣부르지만 굳이 답을 찾는다면 ‘내면’이다. 작가 전지현(67)이 빽빽하게 채운 화면 저 안쪽에 담아둔 게 말이다. 살아 꿈틀대는 진짜 사는 모습이 품은 ‘속살’이란 거다. 때론 거친 나무숲에 첩첩이 방어벽을 쌓기도 하고, 때론 물방울처럼 튀어올라 공기 중에 무심히 흩어지기도 하면서. 작가는 예순이 넘어 정규과정(홍익대 미술대학원)에서 회화를 공부하고 뒤늦게 자신만의 붓길을 낸 늦깎이 화가다. 슬쩍슬쩍 형체가 배어나오기도 하지만, 주로 선과 색의 여운을 붙들어두는 추상화면을 꾸려왔다. 세상과의 소통에서 얻은 감성·서정 등이 바탕이라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연작으로 말이다. 그 속 깊은 내면은 감히 형상으로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여기는 거다. 강하지만 격하진 않는 특유의 색감 역시 ‘내면으로 가는 길’을 단단히 다지고 있다. 29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갤러리이즈서 여는 ‘전지현 개인전’에서 볼 수 있다. 캔버스에 아크릴. 60.6×60.6㎝. 갤러리이즈 제공.
  • "구두통, 내게 넘겨줘"…붓까지 묵직했던 그 시절 [e갤러리]
    "구두통, 내게 넘겨줘"…붓까지 묵직했던 그 시절
    오현주 기자 2024.05.30
    김남배 ‘구두닦이’(1958 사진=미광화랑)[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작은 집 모양 나무통과 나무의자를 둘러메고 온종일 길거리를 쏘다녀야 하는 일. 어쩌다 구두 신은 신사와 눈이라도 마주치면 운이 좋다고 했다. 꽁무니를 졸졸 따라다니다가 기어이 나무의자에 앉히고 나무통에 발을 얹게 했으니까. 구두닦이, 이런 밥벌이가 있었더랬다. 아무리 추억으로 포장해도 짠한 광경이었다. 책가방 대신 구두통을 메야 했던 소년들의 일이었으니까. 공치는 날이 수두룩해도 엄연히 직업이었다. 코 묻은 돈이 쪼개져 학비로 가든 가사로 가든 ‘식구 살리는 일’에 쓰였으니까. 작가 김남배(1908∼1980)도 같은 마음이었을까. 묵직한 ‘장비’에 어깨가 내려앉은 소년의 등을 바라봤으니 말이다. 그 소년의 짐을 넘겨받으려 한 다른 소년의 눈빛에선 붓까지 묵직해졌을 거다. 한국전쟁 직후 흔한 풍경이던 구두닦이 소년들을 ‘흔치 않은 풍경’으로 가둬낸 ‘구두닦이’(1958)가 말이다. 1930년대 말 부산지역에서 ‘춘광회’를 창립한 작가는 서성찬·양달석·우신출 등과 활발히 활동했다. 일제강점기 조선미술전람회를 비롯해 공모전을 휩쓸 만큼 유화에 능했으나 한창 때 수묵화에 빠져들면서 동서양 양쪽으로 붓길을 냈던 미술가로 꼽힌다. 31일까지 부산 수영구 광남로172번길 미광화랑서 여는 ‘꽃피는 부산항 11회전’에서 볼 수 있다. 2000년대 초부터 잊혀가는 부산·경남지역 근대미술가를 찾고 재조명해온 기획전에 이번에는 ‘춘광회’ 멤버 등 작가 27인이 이름을 올렸다. 합판에 오일. 45.5×60.5㎝. 미광화랑 제공.
  • 몸으로 살고자 했던 이들의 '지난한 초상' [e갤러리]
    몸으로 살고자 했던 이들의 '지난한 초상'
    오현주 기자 2024.05.30
    이석우 ‘물장수’(1969 사진=미광화랑)[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청초 이석우(1928∼1987). 충북 청원에서 난 뒤 서울대 미대 동양학과 1기생으로 입학했다. 서울에서 유학한 충청도 사람인 화백이 결국 ‘부산화단’에서 한국화의 명맥을 지켜냈던 결정적 이유는 한국전쟁이다. 전쟁이 끝난 이후 경남 통영을 거쳐 부산에 자리를 잡았고, 동아대에서 후학을 기르며 작품활동을 했다. 근대미술에서 도드라진 화백의 자리는 ‘결이 다른 작품’이 만들고 있다. 당시라 해도 동양화나 한국화라면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다’를 추구하는 고고한 정신세계가 지배할 때가 아닌가. ‘음소거’ 아래 멈춰 세운 세상풍경 말이다. 그런데 웬걸. 화백이 그어내는 붓끝은 소란스러웠다. 몸으로 사는 이들이 내는 삶의 소리가 요란했으니까. 리어카에 좌판을 편 여인들, 돌처럼 무거운 수레를 끄는 사내들, 물질하고, 소몰이하고, 눈보라를 헤치며 장에 나가고. 그러다 잠깐 나무 밑 쪽잠을 자는 휴식에서도 거친 숨소리가 들렸으니까. ‘물장수’(1969)는 화백이 기록한 그 시절 ‘살고자 했던 이들’의 지난한 초상이다. 31일까지 부산 수영구 광남로172번길 미광화랑서 여는 ‘꽃피는 부산항 11회전’에서 볼 수 있다. 서양화가 중심인 전시에 ‘귀한’ 한국화로 걸렸다. 2000년대 초부터 잊혀가는 부산·경남지역 근대미술가를 찾고 재조명해온 기획전에 이번에는 작가 27인(서양화가 24인, 한국화가 3인)이 이름을 올렸다. 종이에 수묵담채. 59.5×55.5㎝. 미광화랑 제공.

문화부 뉴스룸

'보통의 가족' 제작기 영상 공개…디테일 연출에 담은 웰메이드 앙상블

김보영 기자 2024.09.20

‘주니어 골프 산실’…박세리&안니카 인비테이셔널 아시아, 10월 1일 개최

주미희 기자 2024.09.20

박나래, 김대희 품 떠나 FA…JDB엔터와 9년 인연 마무리[공식]

김가영 기자 2024.09.20

12년 차 베테랑도 헷갈린 룰..장수연 "프리퍼드 라이 착각했어요"

주영로 기자 2024.09.20

세종문화회관 '서울시예술단 가을음악회' 20일 공연 우천 취소

김현식 기자 2024.09.20

'트롯 공주' 김희진, 10월 2일 새 싱글 '주세요' 발매

윤기백 기자 2024.09.20

라한셀렉트 경주, 지역 독립서점과 '경주 책방전'

이선우 기자 2024.09.20

한국의 장국영 팬들, 홍콩 민주화운동에 뛰어든 사연?[알쓸공소]

장병호 기자 2024.09.20

`K콘텐츠 스타트업` 해외 진출 돕는다…2024 스타트업콘

김미경 기자 2024.09.20

[여행브리프] 몬스터가 총출동하는 테마파크

김명상 기자 2024.09.20

홍창기-오스틴 9안타 합작...LG, 이틀연속 롯데 잡고 3위 굳히기

이석무 기자 2024.09.19

"추방에 섬 폐쇄까지" 과잉관광에 몸살 앓는 동남아 휴양지들

이민하 기자 2024.09.16

웹툰 종주국 한국서 웹툰계 ‘칸 시상식’ 열린다

강경록 기자 2024.09.08

'키아프리즈'보다 뜨겁다… 콧대 높은 가고시안까지 나선 '장외전'

오현주 기자 2024.09.05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