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정 게시물 수는 △인스타그램 1만 1256건 △네이버 블로그 7335건 △유튜브 1416건 △네이버 카페, 틱톡 등 기타 6026건이다. 게시물 작성자 직업 조사 결과 직장인이 48.8%로 가장 많았고, 주부(17.7%), 전업 인플루언서(8.3%), 학생(7.4%)이 뒤를 이었다.
뒷광고는 추천·보증인이 광고주 등으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았음에도 그 사실을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고 광고하는 행위를 말한다.
뒷광고로 의심되는 게시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경제적 이해관계를 전혀 표시하지 않은 경우(26.5%), 더보기란 등 부적절한 위치에 표시하는 경우(39.4%), 부적절한 표현방식으로 표시한 경우(17.3%) 등이 많았다.
분야별로는 상품 분야에선 ‘보건·위생용품’, ‘의류·섬유·신변용품’, ‘식료품·기호품’ 등이 대부분이었고 서비스 분야의 경우 ‘외식업종’이 많았다.
공정위는 2021년부터 매년 인스타그램, 네이버 블로그, 유튜브 등 SNS 후기 게시물을 점검하고 뒷공고로 의심되는 게시물에 대해선 자진시정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공정위는 올해도 정확한 소비자 정보 제공과 합리적 구매 선택권 보장을 위해 뒷광고에 대한 점검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