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교육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올해 초등학교 교사 정원 2424명과 중등교사 2443명을 줄이는 내용의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한시적 교사 증원(1807명)을 제외하면 순감원 규모는 3060명이다. 행안부는 해당 개정안의 제안 이유로 ‘유·초·중등학교 학령인구 감소’를 제시했다.
조성철 본부장은 이러한 정책 기조를 비판했다. 그는 “우리나라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 22명대, 중학교 26명대이지만, 이는 도서벽지 소규모 학교까지 모두 포함한 평균치”라며 “총 21만9918학급 중 학급 학생 수가 21명 이상인 곳은 71.7%(15만6728학급)이며 26명 이상인 과밀학급은 32.1%(7만645학급)나 된다”고 지적했다.
교사 정원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조 본부장은 기간제교사 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 그는 “학교 현장에선 꼭 필요한 교원을 기간제교사로 메꾸고 있는 실정”이라며 “중·고교는 5명 중 1명이 기간제교사로 운영되고 있다”고 기적했다. 실제 전체 교사 중 기간제교사 비중은 2005년 3.5%에서 2015년 9.8%, 2024년 15.4%로 증가했다. 중학교의 경우 기간제교사 비율이 22%, 고등학교는 23%대다.
특히 늘봄학교(돌봄+방과후교실) 등 저출산 관련 복지정책이 학교 현장으로 쏠리면서 교사들의 행정업무가 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 본부장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복지정책은 아무 필터링 없이 학교로 쏟아지고 있으며 교사들은 쏟아지는 각종 행정업무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이어 “교사들은 아이들의 성장 발달기록보다 우유 급식 신청자 명단부터 정리해야 하며, 수업계획과 교육자료를 구성하기보다는 스마트기기 수리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는 현실에서 교사들은 교육자란 자부심보다 행정직원이 된 것 같다는 자괴감에 빠진다”고 토로했다.
조 본부장은 정부가 교원정원 산정 기준을 학급당 학생 수로 바꿔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학급당 학생 수가 21명을 초과하게 되면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충분한 교육적 경험·지도를 제공하기 어려워진다”며 “특히 초등학생 등 저연령 학생들에게는 더 많은 교육적 지도·관심이 필요함을 고려할 때 학급당 학생 수가 최대 20명을 넘지 않도록 학교 정원 상한선을 규정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