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 ‘노란봉투법을 지지하면 반기업적이다’라는 식의 이분법적 사고는 지양해달라고 촉구했다. 우 수석은 “정치하는 사람들은 양쪽을 다 돕고 싶은데, 이분법적으로 말하면 우리도 설득하기 곤란하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노란봉투법은 수위를 어떻게 조절할지 모르겠지만, 그 법은 우리의 공약이고 처리가 될 것”이라며 “(기업과 노동) 두 마리 토끼를 쫓는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대한민국 전체가 한 마리 토끼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업인들이 보기에 노동부 장관이 급진적으로 보일지라도 그의 정책이 모두 현실화될 수는 없다는 점도 설명했다. 우 수석은 “국무조정실을 거쳐 청와대 정책실, 사회수석실에서 다 의논한다”면서 “대한민국의 시스템을 장관 한 사람이 마음대로 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우 수석은 1980년대 운동권 대표주자였던 자신을 가리키며 “색안경을 쓰고 보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이재명 대통령 또한 시민운동을 할 때, 당내에서 대선주자로 부상할 때 여러 시각을 드러냈지만 대통령이 되어서는 달라졌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우 수석은 “지금 주목하는 것은 이 대통령이 앞으로 어떻게 포지셔닝을 할 것인가”라면서 “과거 대통령이 되기 위해 했던 언사들, 생존을 위해 했던 일을 보고 ‘노선’으로 보는 것은 가혹하다”고 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에서도 한미동맹이 중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수석은 “지금은 한미동맹 위에 한국의 생존과 번영이 달려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한미동맹은) 대한민국의 존재와 번영을 위해서는 무조건 지켜야 할 철칙”이라고 말했다.
일부 기업인은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이재명 정부의 계획을 묻기도 했다. 개성공단이 폐쇄되는 등 남북관계 경색으로 피해를 본 기업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는 어떻게 이를 풀어나갈지 물어본 것이다.
우 수석은 현재 기준 남북 간 대화가 단절되어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는 우발적 충돌을 막는 유일한 군사 채널 하나 정도만 남아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대화 통로를 다시 한번 뚫어보자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그는 남북 관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신호로 대북·대남방송의 중단을 꼽았다. 실제 이재명 대통령 당선 후 남쪽에서 먼저 대북 방송을 중단하자 북한에서도 대남방송을 중단했다. 우 수석은 “이 정도만 해도 (대화 채널이 끊긴 상황에서)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