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청은 5일 박 국장을 치안정감으로 승진 내정하는 등 고위직 인사를 단행됐다. 동시에 치안감 승진 인사도 이뤄졌는데요. 치안감으로 승진한 3명 중 2명이 대통령실에서 근무한 인물들로, 인사 이후 논란이 뜨겁습니다.
박 국장은 7일 서울청장 직무대리로 임명되기도 했는데요. 앞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내란 가담 혐의로 조지호 경찰청장과 함께 구속기소되면서 공석이 된 서울청장 자리에 박 국장이 단수 추천됐습니다. 서울청장은 경찰 조직 내에서 경찰청장에 이어 2인자로 평가받는 자리입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계엄에 연루돼 수사를 받는 상황에서 경찰국장을 지낸 박 국장에 대해 의혹의 시선이 모입니다.
박 국장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조지호 경찰청장, 이상민 전 장관, 임정주 경찰청 경비국장 등과 여러 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기본소득당은 지난 5일 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에 대해 “윤석열만을 위한 노골적인 코드인사, 내란 입막음을 위한 기습인사에 대한 내막을 철저하게 밝힐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신정훈·윤건영·김성회·모경종·박정현·양부남·용혜인·위성곤·이광희·이상식·이해식·정춘생·채현일·한병도 의원도 입장문을 통해 “이번 경찰 인사는 원점 재검토돼야 한다”며 “경찰의 국회 봉쇄와 언론사 단전단수 등 비상계엄 가담 의혹이 제대로 규명되지도 않았는데 기습적으로 경찰 최고위급인 인사를 단행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현행 경찰공무원법은 경찰 총경급 이상 인사는 경찰청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행정안전부 장관이 제청해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으로 돼 있다. 직무대행 3인이 인사 만행을 저질렀다”며 “윤석열 정부 인수위부터 국정상황실, 행정안전부 경찰국장까지 지낸 박현수 치안감, 윤석열 정부의 101경비단 출신 조정래 경무관, 현재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에서 근무 중인 남제현 경무관 등은 윤석열 정부에서 승승장구한 인물들”이라고 꼬집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