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경은 속도가 관건이다. 신속하게 논의해야 한다”며 “(여당이) 추경에 대해 말로는 하자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협의해 보면 전혀 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제는 침체되고 체감물가는 급등하는 ‘스크루플레이션’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민생경제의 어려움이 하루가 다르게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여당이) 추경 조건으로 작년 연말 삭감한 예산 복구를 내건다는데, 특수활동비, 특수업무경비, 예비비를 늘리면 민생경제가 살아나고 경제가 회복되느냐”며 “이상한 고집을 부리고 있다”고 힐난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본격적인 추경 논의로 민생 회복의 숨통을 틔워야 한다. 어제 민주당이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공개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추경 편성 필요성을 인정한 만큼 관련 논의가 속도감 있게 진행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으로 꽁꽁 얼어붙은 민생 현장을 풀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의힘의 적극적인 협조를 촉구한다”며 “국민의 겪는 어려움 앞에서 정치적 유불리나 이런저런 조건을 따질 때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별도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이 제안한 추경안에 ‘민생회복지원금’이 포함된 것을 문제 삼는 국민의힘을 향해 “내수진작 대책이 무엇이냐”며 “민주당이 민생회복 소비쿠폰만 포기하면 즉각 추경을 할 수 있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소비진작 4대 패키지를 제시했는데 국민의힘의 내수부진 타개 대책은 무엇인가”라며 “무조건 반대하기에 앞서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책임 있는 공당의 자세 아닌가”라고 직격했다.
진 의장은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소비부진을 타개하고 내수진작의 마중물이 될 정책대안을 보고 싶다”며 “민주당은 앞서 말했듯 민생회복을 위한 직접지원이 추경을 할 수 없는 진정한 이유라면 얼마든지 이를 내려놓을 수 있다. 이제 그만 고집을 꺾고 추경 편성 논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