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발적으로 나뉘어 있던 저출생 지원금을 ‘가족수당’으로 통폐합해 수혜자들의 지출 선택권을 높이고,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라 상반기 중 퇴직연금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
위원회는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이를 위해 저출생 관련 현금성 지원을 통폐합하고 ‘가족수당’을 신설을 제안했다. 그간 저출생 지원은 △아동수당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등의 현금성 지원과 △자녀장려세제 △자녀세액공제 △출산·입양세액공제 등 세제 지원 등 산발적으로 이뤄졌다. 정부 지출은 많음에도 불구, 수혜자들의 지출 선택권도 낮고 효과성도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또 저출생 사업 전반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거쳐 프랑스처럼 소득·자녀 수별로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도 제시했다.
주거지원, 세제혜택 등을 제공할 때 결혼 페널티 해소도 짚었다. 예컨대 주말부부 등 부부가 따로 거주할 경우 부부 모두에게 월세 공제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동거·비혼 등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동거관계 등록제’ 도입도 언급했다.
상반기 중 퇴직연금 개선 방안…우수인재 특별비자 신설
고령층에 대한 계속고용 지원도 비중있게 다뤘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사회적 대화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한 뒤 정년을 연장 또는 폐지를 제언했고, 노인 복지를 감안해 노인연령 조정 논의도 본격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우수한 외국인재 유치와 해외에 있는 국내 인재를 다시 데려오기 위한 지원도 확대도 시급하다. 글로벌 주요 대학을 졸업한 석·박사 등 인재를 위한 ‘첨단분야 우수인재 및 유망인재 대상 특별비자’를 신설해 국내 입국, 체류 편의를 제공할 것을 제시했다. 소득세 50% 감면, 외국인 학교 입학특례 등 정착 지원도 강화 필요성도 제안했다.
이미 일본은 글로벌 톱100 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2년 간 취·창업 활동을 할 수 있는 맞춤형 비자를 2023년 신설한 바 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시급성과 여건을 감안해 당장 추진 가능한 과제는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검토하고 발전시켜 올해 중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