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국민의힘 소속 행안위원들이 중도 퇴장한 가운데 진행된 질의에서 민주당 등 야권 위원들은 조 청장을 비롯한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목현태 국회경비대장 등을 상대로 국회의원들의 출입 통제를 누가 지시했는지를 캐물었다.
조 청장은 “제 기억으로는 11시 30분쯤 전에 전화가 와서 ‘국회를 통제해줬으면 좋겠다’는 지시를 받았다”며 “법률적인 근거가 없다고 거부하니까 포고령이 내려왔다고 해서 포고령을 확인한 뒤 적절한 지시를 하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전화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계엄사령관 박안수 대장과 제가 직접 전화를 했다”고 답했다.
김 서울청장도 “안전조치라는 생각에 처음에는 급박한 상황에서 우발 사태에 대비하게 위해 통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서울청장은 “처음에는 법률적 판단을 할 여유가 없었기 때문에 통제했고, 20분 후에 국회 경비대장으로부터 ‘의원들이 들어가기를 요청한다’는 말에 검토했을 때 (출입을 막을) 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생각에 허용했다”며 “그렇다고 모든 시민까지 들어가면 위험이 있으니까 출입증이 있는 분들만 출입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은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지난 4일 오후 2건이 고발됐으며 안보수사부에 사건을 배당했다고 밝혔다. 우 본부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조 청장, 김 청장을 비롯해 박안수 계엄사령관,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이상민 행안부장관 등이 고발됐다.
이 자리에서 우 본부장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출국금지를 어떻게 조치할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긴급히 필요한 사항을 안보수사단장에게 조속히 실시하라고 했다”고도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면직안 재가로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불참하게 된 김 전 장관의 해외 도피설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