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는 5일 이사회 보고를 거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조직개편의 방점은 조직 통합이다. SK하이닉스는 핵심 기능별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C-레벨 중심의 경영 체제를 도입했다. △인공지능(AI) 인프라(CMO) △미래기술연구원(CTO) △개발총괄(CDO) △양산총괄(CPO) △코퍼릿센터(스태프총괄) 등 5개 조직이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을 중심으로 5개 조직으로 단순화해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개발총괄과 양산총괄의 신설이다. 개발총괄은 기존에 있던 D램 개발, 낸드 개발, 솔루션개발 조직 등을 하나로 통합한 곳이다. 차세대 AI 메모리를 비롯한 모든 메모리 제품의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포석이다.
양산총괄은 메모리 전공정과 후공정 양산을 담당한다. AI 메모리 시장에서 패키징 등 후공정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자, 기존의 제조·기술과 P&T 조직을 통합해 양산총괄 조직을 만들었다. 양산총괄은 공정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향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해 국내외에 건설할 공장의 생산기술을 고도화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양산총괄은 김영식 부사장이 맡는다.
지난해 새로 만든 AI 인프라 조직은 김주선 사장이 유임됐다. AI 인프라는 부문별로 흩어져 있던 고대역폭메모리(HBM) 관련 역량과 기능을 결집하고 글로벌 세일즈&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다.
곽노정 사장은 “올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지만 경영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개편과 인사를 통해 기존 사업과 미래 성장 기반을 리밸런싱해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