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 尹염두 “공직자들 하루 빨리 복귀하길”
대통령실은 13일 오전 헌법재판소가 최 원장 등에 대한 탄핵을 기각한 직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헌법재판소는 탄핵의 사유조차 불분명한 무리한 탄핵소추 네 건을 모두 기각하여 야당의 탄핵 남발에 경종을 울렸다”며 “공직자들이 하루빨리 업무에 복귀해 국정이 정상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야당을 직격하면서 윤 대통령 역시 탄핵 기각 후 업무에 복귀하길 기대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이번 주 선고가 예상됐으나 헌법재판관 평의가 길어지면서 일러야 다음 주 늦으면 이달 말 결과가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전문가 “줄탄핵, 비상사태라고 누가 보겠느냐”
윤 대통령 측은 특히 최 원장 탄핵 기각에 고무됐다. 야당의 최 원장 탄핵 추진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강행하는 계기가 됐던 걸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자신의 탄핵심판 최종 변론에서 감사원이 지난 정부 인사들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관련 정보를 중국 측에 넘겼다는 의혹을 감사하자 야당이 최 원장 탄핵을 시도다고 주장하며 “헌법기관인 감사원장에 대한 무차별 탄핵은 그 자체로도 심각한 헌법 파괴 행위지만 이적 행위까지 탄핵으로 덮는 것을 보며 이야말로 자유민주주의를 무너뜨리는 망국적 위기 상황이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도 이날 이 같은 주장을 되풀이하며 윤 대통령 탄핵사건 기각을 주장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과 윤 대통령 사건은 별개라고 본다. 정태호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윤 대통령은 줄탄핵을 비상계엄 선포 사유라고 얘기했지만 줄탄핵으로 전시·사변에 준하는 비상사태가 발생했다고 누가 보겠느냐”고 지적했다. 헌재도 이날 이 지검장 탄핵을 각하하면서 이 지검장 측이 주장한 국회의 탄핵소추권 남용에 대해 “설령 부수적으로 정치적 목적이나 동기가 내포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를 들어 탄핵소추권이 남용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