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집행위는 “가계 비상 계획을 수립하고 필수품을 비축하는 것과 같이 위기에 대한 사전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장려한다며 18쪽 분량의 지침을 발표했다.
EU집행위는 유럽이 위험과 불확실성으로 얼룩진 새로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하며,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전면전, 고조되는 지정학적 긴장, 중요 인프라의 파괴 공작, 전자전을 대비의 주요 필요성으로 꼽았다.
이 지침은 전반적으로 시민들이 자립심과 심리적 회복력을 기르도록 장려했고 학생들에게 허위 정보와 정보 조작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학교 커리큘럼에 ‘(재난) 대비’ 수업을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
하자 라비브 유럽위기관리위원은 자신이 직접 출연한 영상을 통해 시민들이 무엇을 준비할지 설명했다. 이 영상에는 재즈피아노 사운드 트랙에 맞춰 라비브 위원이 방수케이스에 담긴 신분증, 통조림, 생수, 라이터, 군용칼, 현금, 약품, 소형라디오 등을 소개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유럽 각국 가운데서는 자체 비상계획을 수립한 국가도 있다. 지난해 6월, 독일은 전반적 방위에 대한 기본 지침을 업데이트하여 특히 유럽에서 갈등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할지 지침을 내놓았다. 독일정부는 아울러 각 세대에 자체 지하실, 차고, 창고를 벙커로 개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스웨덴 역시 집에 충분한 물,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 담요, 대체난방을 비축하고 배터리로 작동하는 라디오에 투자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폴란드는 신축 주거시설을 지을 때는 안전한 대피소를 포함하도록 권고했으며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은 지난해 11월 영하 20도에서 며칠 동안 전기 없이 지내는 법, 전쟁 상황 대처법 등을 담은 책자 또는 온라인 문서를 배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