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K온디바이스 AI반도체(가칭)’ 사업을 통해 이번 주까지 기업들의 수요를 받아, 이달 대표 기업 후보를 선정할 예정이다. 3~4월에는 후보 기업을 주도로 팀을 구성하고 5월에는 민간 대표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는 기업들이 원하는 AI 반도체를 국내 토종 팹리스가 설계하고, 국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가 생산하는 형태다. 수요 기업과 팹리스, 파운드리를 연결해주는 사업이다. 업종별로 온디바이스 AI 칩을 개발해 4대 주력 사업의 첨단 제품을 만드는 것까지 목표로 한다.
|
사업 분야는 △기계와 로봇 △사물인터넷(IoT)·가전 △자동차 △방산 등 4개다. 사업 규모는 1조원이다. 정부는 4개 분야에서 각각 2개 과제를 선정해 1000억~2000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가전, 자동차, 방산 영역에서도 필요한 AI 칩이 있다고 하면, 팹리스가 모듈·AI 개발 환경 등을 포함한 풀스택을 개발해 시제품을 만들고 서비스를 개발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드림팀은 수요 기업을 중심으로 팹리스, AI 소프트웨어 기업, 대학 등으로 구성한다. 여기에는 국내 팹리스의 개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팹리스 역량 강화를 위해서다.
실제 국내 팹리스들은 뛰어난 반도체 설계 능력을 갖췄다고 해도 이를 사업화하는데 한계를 갖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AI 칩을 원하는 기업이 있어야 이를 생산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데, 한국 생태계에서는 이런 선순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도 팹리스, 소재·부품·장비 시장을 키워줄 수 있는 공공 파운드리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팹리스의 파운드리 접근성을 확대하고, 소부장 기업과 패키징 제조 생태계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가 이번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특히 온디바이스AI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본격 상용화 단계 전이다. 지금은 AI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AI 서버에 미국 빅테크들의 투자가 집중돼 있지만, 추후 PC, 모바일, 태블릿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반도체가 핵심 역할을 할 게 유력하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온디바이스AI 시장은 오는 2027년까지 약 1500억달러(21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