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선 앞서 원전을 건설하려다 탈원전 정책 여파로 취소됐던 경북 영덕과 강원 삼척이 거론되고 있지만 정해진 건 없다.
|
15개년(2024~2036년) 간의 발전설비 확충 내용을 담은 법정 계획인 11차 전기본은 사실상 확정된 상태다. 아직 오는 21일로 예정된 산업부 전력정책심의회에서 의결하고 공고하는 절차가 남았지만, 이미 많은 검토를 거쳐 국회가 보고만을 기다려온 만큼 큰 이변이 없는 한 당일 의결이 확실시된다.
10년 만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다. 정부는 2015년 수립한 7차 전기본 때 신한울 3·4호기 계획을 세웠었다. 신한울 3·4호기는 계획 수립 2년 후 탈원전 정책 기조로 추진이 중단됐다가 계획 수립 9년 만인 지난해 10월 착공했다.
국내 유일의 원전 운영사인 한수원은 11차 전기본 계획에 따라 2037~2038년까지 설비용량 1.4기가와트(GW) 규모 신규 원전 2기를 차례로 가동해야 한다. 신규 원전 건설 기간이 약 10년이고 다양한 변수로 지연되는 일도 있는 만큼 추진 일정이 넉넉지 않다.
최대 관심사는 신규 원전 부지 선정이다. 신규 원전이 들어서려면 지반이 안정적이고, 발전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 공급이 가능해야 한다. 발전 전력을 필요한 곳으로 보내기 위한 전력망 확충 여건이 뒷받침되는 동시에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사회적 합의와 보상, 지원 문제도 협의해야 한다.
이 두 곳은 앞선 전기본에 포함돼 한수원이 정부로부터 전원개발사업 예정구역으로 지정받아 일부 부지 매입까지 진행했던 곳이다. 이미 한 차례 주민 수용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선 원활한 사업 추진이 기대된다.
다만, 해당 계획이 폐기된 지 이미 수년이 지났고 당시에도 모든 주민이 찬성한 것은 아니기에 여전히 수용성이 높으리라 장담하기 어렵다. 한수원으로서도 더 좋은 후보지가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수원 역시 백지화된 기존 계획과 무관하게 희망 지자체의 신청 등을 통해 부지 선정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신규 원전 부지 확보와 관련해 우선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는 지역은 없다”며 “안전성과 환경성, 수용성 등을 종합 고려해 지자체 자율유치 등을 통해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