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는 임금 단체협상이 몰려 있어 가뜩이나 노동계의 투쟁이 빈번한 시기다. 특히 올해는 신정부 출범 이후 발표된 경제정책 방향이나 최저임금 인상률 등에 대한 노동계의 반발이 맞물리면서 갈등이 더욱 증폭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이면에는 노동계쪽으로 치우쳤던 노사관계를 바로잡으려는 정부와 기득권을 사수하려는 노동계간 힘겨루기 양상도 깔려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미 노사관계는 문재인 정부 5년간 과도한 노조 보호로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전락했다. 소수의 노조원이 다수의 일반 근로자를 대변하는 것처럼 보이는 불공정 구조도 고착화되고 있다. 거대 노조의 일탈로 비상식적 폭력은 일상화되고 노조를 등에 업은 노동자와 일반 노동자간 노·노갈등으로 산업현장이 마비되는 현상도 비일비재하다.
최근 노동계의 강경투쟁은 정부가 자초한 측면도 있는 게 사실이다. 2조원 가까운 손실을 유발한 화물연대파업에 미봉책으로 대응하면서 노조에 초반부터 기선제압을 당한 꼴이다. ‘투쟁 DNA’에 함몰돼 있는 강성노조에 대응하는 최선의 길은 대화와 타협을 병행하되 불법 행위에는 법과 원칙이 살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 외에 더 없다. 엄정 대응을 구호로만 반복한 채 실행을 외면한다면 정권 내내 강성 노조에 무기력하게 끌려다닌 과오를 되풀이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