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가지면 노후 든든"…퇴직연금 스스로 운용하려면

[글로벌 스탠더드에서 답을 찾다]
韓디폴트옵션, 원금보장형 포함…수익률 제자리 우려
개인 투자성향 맞는 TDF·ETF 적절히 배분해야
직접운용 어렵다면 TDF 적합…젊은층도 관심 쑥
  • 등록 2022-05-31 오전 5:56:07

    수정 2022-05-31 오전 5:56:07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국민연금 고갈 우려가 부각되면서 퇴직연금 강화에 대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퇴직연금에 대한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운영상품에 원리금 보장형이 포함돼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가입자도 원리금 보장형에 안주하기보다 제도 개선을 발판 삼아 스스로 관심을 갖고 적극 운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30일 정부의 ‘2021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현황 통계’에 따르면,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의 86.4%를 차지하는 원리금 보장형의 수익률은 1.35%로 전년(1.68%)보다 하락했다. 이 기간 실적배당형은 6.42%를 기록했다. 퇴직연금의 저조한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한 취지 시행되는 디폴트옵션 운영상품엔 타깃데이트펀드(TDF), 머니마켓펀드(MMF), 부동산인프라펀드와 함께 원리금 보장형이 여전히 포함된다.

가입자 선택에 따라 제도 취지가 무색해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원리금 보장형을 디폴트옵션에 포함하지 않는다. 원리금 보장형을 포함한 일본은 평균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해외 디폴트옵션은 대체로 펀드로 돼 있고, 국내는 △원리금보장형 △펀드 △원리금보장형+펀드로 제공될 예정이다.

송홍선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원리금 보장형 도입으로 자산배분·분산투자라는 연금자산 장기 운용 기본 원리가 약화될 수 있다”며 “제도 취지가 무력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가입자 교육 요건을 강화, 연금자산 운용의 기본 개념·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금융사들은 퇴직연금을 굴릴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내놓고 있고,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있다. 오원석 한국투자신탁운용 연금마케팅1부장은 “적극적인 운용이 가능한 투자자를 제외하고는 펀드 등 투자상품을 선택하는 게 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며 대표적인 펀드 유형으로 TDF와 자산배분·혼합형 펀드를 꼽았다.

가장 적합한 디폴트옵션 상품으로는 TDF가 거론된다. TDF는 개인이 운용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은퇴시점에 가까울수록 안전자산 비중이 높아져 투자가 가장 쉽다는 평이다. 편리성·합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젊은 투자자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 KG제로인에 따르면 30일 기준 국내 TDF 대표펀드수는 134개다. 순자산은 2020년 말 5조2436억원에서 2021년 말 10조9271억원으로 108.4% 증가했고, 이날 기준 10조8724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충분한 노후자금이 있어 안정적 운용만을 원한다면 원리금보장형 위주 △적극적인 운용을 원하는데 모두 펀드에 맡겨서 운용하고 싶고 나이에 맞는 투자를 원하면 TDF △위험성향에 따라 투자하고 싶다면 투자성향에 맞게 고를 수 있는 자산배분·혼합형 펀드가 적합하다는 판단이다. △ETF는 적극적인 투자 성향이 저비용 장기투자를 위한 보유의 개념으로 접근하되 손실 우려를 유의하라고 조언했다.

TDF 등 자산배분형과 ETF를 ‘코어(핵심)-위성’ 전략으로 운용하란 조언도 나왔다. 손수진 미래에셋자산운용 WM연금마케본부장은 “자산배분형 상품에 50% 이상 투자해 코어 자산을, 혁신성장 ETF 종목을 위성 자산으로 구성하는 방식”이라며 “코어 자산은 본인 은퇴시기까지 지속 투자를, 위성 자산은 시장 전망 등에 따라 매매하되, 최소 3년 이상 긴 호흡을 갖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이동은 삼성자산운용 연금WM마케팅 팀장은 “ETF나 TDF도 고위험·저위험 상품이 있다”며 “장기 운용이 필요한 만큼 자신의 투자성향과 맞는 상품으로 시작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퇴직연금을 개별적으로 보기보다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를 고려하란 의견도 제시됐다. 이석희 KB자산운용 WM연금본부 상무는 “글로벌 중심이라면 국내 채권혼합을 투자하는 등 편향되지 않도록 구성하라”며 “연금상품 성격을 고려해 단기보다 적절한 리밸런싱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꼼짝 마
  • 우승의 짜릿함
  • 돌발 상황
  • 2억 괴물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