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MBC가 공개한 영상에서 한 남성이 여성을 뒤에서 양팔로 감싸 안은 뒤 흉부에 압박을 가한다. 1분 넘게 압박하고 나니 마침내 여성이 안정을 되찾은 듯 목을 어루만졌다.
추석이었던 29일 오후 1시께 남편과 함께 경남 거제시 추모의 집을 찾은 50대 여성 A씨가 차량 안에서 생밤을 까먹다 목에 걸린 것이다.
목을 움켜쥔 채 괴로워하는 A씨를 남편이 차 밖으로 끌어내 물을 먹이려 했고, 마침 뒤차에 타고 있던 간호사 정성길(24) 씨가 A씨에게 하임리히법으로 응급조치에 나선 것이다.
정 씨의 도움으로 목에 걸린 생밤을 토해낸 A씨는 여러 차례 감사하다는 말을 전했다고.
|
특히 즉각적인 처치를 하지 않으면 뇌사 등 치명적인 신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목 막힘 사고는 나이가 어릴수록 더 많다.
아이들이 소리 나는 기침을 할 경우 계속 기침하도록 둬야 하고, 소리 나지 않는 기침을 하거나 얼굴이 파랗게 질린 경우엔 등을 5회 두드린다. 효과가 없다면 복부를 뒤에서 양팔로 감싸 안은 뒤 위로 밀쳐 올리는 하임리히법을 5회 실시해야 한다.
호흡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등을 두드리고 복부를 밀어내는 동작을 각각 5회 반복하고, 만약 의식을 잃거나 호흡이 없으면 바닥에 눕혀 심폐소생술을 한다.
허벅지 위에 머리가 가슴보다 아래를 향하도록 엎드려 놓고 손바닥 밑부분으로 아기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린다. 다시 아기를 뒤집어서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한 후 가슴 양쪽 젖꼭지 중앙부위에서 약간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4cm 정도의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가슴 압박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