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정보서비스 Fn가이드의 예상치에 따르면 마이크로디지탈은 올해 매출 136억원에 영업이익 2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매출 108억원과 영업이익 9억원 대비 각각 26%, 145% 가량 성장하는 수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석장비 및 POCT(현장진단) 장비 판매 확대에 따라 바이오메디컬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달성이 예상된다. 이어 바이오프로세스는 국내 주요 기업 공급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익률이 높은 바이오프로세스 및 소모품 매출 증가에 따라 소폭의 원가 감소가 예상돼 수익 측면에서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된다.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전환 추세에 전망은 ‘맑음’
전세계적으로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마이크로디지탈에게 긍정적 요인이다.
이는 상업화용 생산 단계에서의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도입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상업화 단계에서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도입은 최근 크게 증가했는데, 세포 배양부터 회수까지의 단계에서의 사용 비중이 2016년 22.8%에서 2022년 82.5%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세포 회수부터 완제품 제조까지의 단계에서는 21.4%에서 52.8%로 증가했다.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은 배양백을 비롯해 배양과 생산에 필수적인 기타 부품 및 장치들이 모두 일회용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모품 매출 발생이 가능하며 이익률 또한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토리우스, 써모피셔, 사이티바 등 글로벌 피어의 경우 일회용 세포배양 시스템 장비 및 소모품이 포함된 사업부문의 마진율이 평균 30% 수준인 만큼 마이크로디지탈의 수익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마이크로디지탈에게는 도움이 되고 있다. 정부는 바이오경제 주권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허브’ 도약을 위한 R&D 지원, 바이오 소부장 생태계 조성, 산업기반 구축 등에 2조1000억원의 예산 지원 및 17조7000억원의 민간투자 밀착 지원 계획 등이 포함된 ‘바이오제조 혁신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김경남 대표는 “정부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라며 “지난해 흑자 전환한 만큼 국내외에서 더 공격적으로 영업을 해 한 단계 더 성장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리스크로 꼽히는 CB 조기상환 및 자금조달 예상은?
마이크로디지탈은 상장 후 2021년 9월 전환우선주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로 80억원, 전환사채(CB)로 120억원을 조달했다. 전환우선주는 2024년 1분기 기준 총 62만5000주가 전환 청구됐다. 전환사채는 2023년 9월과 2024년 6월 총 46억8000만원, 43만4000주에 대한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행사로 인해 채무 상환 목적으로 2024년 3월 추가 90억원 규모의 CB를 발행한 바 있다.
마이크로디지탈은 올해 1분기 기준 약 67억원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존 전환사채 잔여차입금액 약 73억원을 조기 상환하는 경우 연내 자금 조달이 필요할 수 있어 대표적인 리스크로 꼽힌다.
김 대표는 “거래 상대와의 관계, 주가 등 여러 가지 상황을 봤을 때 조기 상환에 대한 이슈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인도 백신 생산 기업과 계약 등 글로벌 무대 계약이 조금씩 진전되는 만큼 자금 확보에 급박하지 않기 때문에 조기 상환해야하는 상황이 생기면 그 때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