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득 3450만원 이상을 중산층으로 규정하고 세(稅)부담을 지우는 내용의 세제개편안이 서민·중산층의 거센 반발을 불러온 게 발단이 됐다.
중산층 논란 발단이 된 ‘연소득 3450만원’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19일 ”현재 OECD 기준의 중위소득 규모는 국제 비교를 위한 지표일 뿐, 국내 중산층 범위를 파악하기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면서 “자산규모와 생활 여건 등 을 감안한 새로운 중산층 기준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중산층 기준 만들기에 착수한 것은 세제개편안을 둘러싼 논란이 일면서부터다. 중산층의 소득 중간점을 3450만원으로 잡고, 그 이상 소득자들의 세 부담을 늘리겠다고 발표한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거센 조세저항을 불러온 탓이다. 특히 연소득 3450만원이 상위 28% 소득자이고, 중산층의 소득 중간 수준이라는 정부 발표는 국민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개념과 지나치게 동떨어져 있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급기야 정부는 지난 13일 세제개편안 수정안을 내놓으면서 세부담 기준선을 총급여 5500만원으로 상향조정했지만, 중산층 기준에 대한 논란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4.1 부동산대책 때는 연소득 6000만원 이하로, 이명박정부 때인 2008년 세제개편에서는 과세표준액 8800만원을 중산층으로 잡는 등 중산층에 대해 ‘고무줄 잣대’를 들이미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차상위계층보다 100만원 더벌어도 중산층
하지만 이렇게 보면 연소득 1900만원대인 차상위 계층(4인 가족)과 중산층의 연소득 차이는 100만원 남짓 밖에 되지 않는다. 차상위 계층은 정부의 기초생활보장수급대상 바로 위 계층으로, 잠재적 빈곤계층으로 분류된다. 정부로부터 주거ㆍ의료ㆍ교육 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는 차상위계층보다 기껏 100만원 더 버는 사람도 중산층으로 규정하고, 세금을 더 내라 하니 어느 때보다 반발이 거셌던 것이다.
정부가 새로운 중산층 기준을 정립하려는 것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기존 OECD 기준에서 쓰이는 소득 규모 외에 자산 규모, 생활 여건 등도 중산층 개념을 세우는데 데이터로 활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새로운 중산층 기준을 국내 정책 활용의 기준점으로 활용하고, OECD 기준은 국제 비교 지표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기재부 고위관계자는 “중산층 기준이라는 게 다른 나라에도 없는 개념이기에 새로운 기준점을 만드는 게 쉽지 않은 작업”이라며 “연구소들과 함께 최대한 국내 실정에 맞게끔 중산층의 괴리감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춰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