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무탄소에너지(CFE) 인증제도가 국제적으로 통용된다면 우리 기업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당장은 RE100에 목숨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하다. CFE 인증서를 글로벌 공용 기준으로 만들려는 노력과 함께 RE100 같은 당장의 탄소 무역장벽 대응을 병행해야 한다.”
허재용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지난 21일 서울 포스코 사옥에서 진행한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당장 눈앞의 탄소 무역장벽에 적기 대응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부담은 생각보다 커질 수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 허재용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사진=김형욱 기자) |
|
허 연구원은 CFE가 글로벌 공용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면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자동차 등 탄소 다배출 업종 위주의 한국 산업계엔 가뭄 속 단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 기업들이 당장은 RE100에 가입한 기업의 발주 기준을 맞추지 못해 계약이 취소되고, 당장 올 10월부터 시행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준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CFE 인증서로 탄소중립 노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면 이를 활용해 다양한 기회를 모색할 수 있으리란 기대 섞인 분석이다.
그는 “장기적으로 원자력발전(원전)에 우호적인 미국이나 스웨덴, 일본, 프랑스 같은 국가와 교류하면서 RE100에 버금가는 글로벌 공용 기준으로 만든다면 우리나라처럼 재생에너지 개발 여건이 열악한 국가·기업에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미국에도 이미 재생에너지뿐 아니라 원전과 청정수소, 탄소 포집·저장(CCS)을 전제한 화석연료 사용도 청정에너지로 보는 기준이 있는 만큼 우리로서도 이를 활용하기 좋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식 CFE 인증제 도입 과정에서 기업으로선 RE100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 전력 직접구매계약(PPA)을 맺어 전력을 공급받는 것처럼 원전 전력 PPA를 맺어 원전 무탄소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탄소저감 실적으로 인정받을 길도 열릴 수 있다. 기업으로선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을 돌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 원전 발전단가는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의 5분의 1 수준이다.
그는 다만 CFE 인증제 도입·확산 노력과 별개로 재생에너지 발전량 확대 등 기존 탄소 무역장벽에 대응한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연구원은 “장기적으론 CFE가 통용되면 좋겠지만 기업에 당장 급한 건 RE100이나 EU CBAM 같은 현 탄소 무역장벽 대응”이라며 “투트랙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맥락에서 RE100과 CFE가 대척에 선 개념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현재 논의 중인 CFE 개념의 원조 격인 24/7 CFE의 경우 RE100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생겨났고, CFE 역시 이 같은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허 연구원은 “원전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기업이 CFE는 물론 당장의 RE1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충분히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 탄소 무역장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면 우리 산업 전반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