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의 먹구름이 짙어지면서 우리 기업들을 둘러싼 분위기는 무겁기만 하다. 벌써부터 감산에 나선 기업들이 곳곳에서 등장한 가운데 내년엔 투자와 고용까지 줄이는 기업들이 잇따를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많다. 이미 비상경영에 돌입, 현금확보를 우선시한 기업들이 투자를 줄이면 고용 축소·소득 감소가 불가피하고 이는 곧 재차 소비위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향후 경기침체발(發) ‘악순환의 고리’에 갇힐 수 있다는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
30일 재계에 따르면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기업들의 재고는 날로 쌓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말 재고자산은 57조3198억원으로, 전년 동기(37조8017억원) 대비 51.6% 증가했다.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 증가 폭은 더 컸다. 올 3분기말 재고자산 규모는 14조6650억원으로, 같은 기간 122% 급증했다. SK(주)와 한화, 현대중공업, 포스코의 재고자산은 같은 기간 각각 76.5%, 44.2%, 38.1%, 26.2% 늘었다.
재고자산 증가는 가뜩이나 실적 악화 우려가 큰 우리 기업들에 직격탄이 될 공산이 크다. 기업은 제품 판매가격이 전과 달라지면 이를 바탕으로 재고자산의 가치를 산정하는데, 수요 위축으로 판매가격 하락 압박이 커지면서 재고자산평가손실 역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매출원가에 반영돼 기업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의 감소폭을 키울 수 있다. 만약 재고를 제대로 털어내지 못할 경우 제품의 가격 추가 하락 압력도 강해지는데 이 역시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진다.
실제로 내년 투자 계획을 줄줄이 백지화하거나 대폭 줄어드는 기업들이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다. 이미 SK하이닉스는 이미 “내년 투자를 올해 대비 50% 줄일 것”이라고 발표한 상태다. 공장 내 장비 재배치 등을 통한 ‘자연적’ 감산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기도 내년 투자 규모를 줄이기로 했다. LG디스플레이는 가격 경쟁력이 낮은 TV용 액정표시장치(LCD) 사업 철수를 가속화하는 한편, 주력인 TV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감산하고 있다.
또 올해 시설투자 규모를 연초 계획 대비 1조원 이상 축소하고 내년에도 감가상각비의 절반 수준에서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앞서 현대오일뱅크와 한화솔루션도 각각 3600억원 규모의 설비 투자, 1600억원 상당의 생산라인 설립 등의 투자 계획을 전면 철회했었다.
고통분담에 나선 기업들도 눈에 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지주회사인 한국앤컴퍼니는 올 4월부터 임원 임금을 최대 20% 삭감하고 있다.
전문가들 “투자·고용 적극적인 기업 없을 것”
전문가들이 바라 보는 기업들의 상황도 암울하긴 마찬가지다. 조명현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꼭 필요한 연구개발(R&D) 투자는 이어가겠지만, 그 외 적극적으로 투자를 고려하는 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봤다.
여기에는 금융시장 경색에 따른 자금조달의 어려움도 한몫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현금 확보에 사활은 거는 분위기다. 이미 ‘현금 중심 경영’을 선언한 포스코그룹의 올 3분기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이 7조4953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말(4조7751억원)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게 대표적이다. 성태윤 교수는 “기업 입장에선 투자와 고용보단, 생산과 자금흐름이 먼저”라며 “전반적으로 생산이 늘어나야 하는데 거꾸로 감소한다는 건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뜻으로, 이 역시 향후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