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전문가들은 “경쟁 지향적인 사회가 자신의 아이가 뒤처질까봐 겁나는 엄마들의 마음을 부추겨 과도한 선행학습을 조장하고 있다”며 “너무 빠른 선행학습은 자칫 학습에 대한 거부감만 키워 진짜 공부를 해야 할 시기에 학습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포화상태 학습지 업체 ‘아래로 아래로’
학습지 업체 ‘빅3’로 꼽히는 대교·교원구몬·웅진씽크빅은 최근 몇 년 사이 영아 관련 학습 상품을 앞다퉈 출시했다. 대교는 24개월부터 시작하는 ‘눈높이놀이 똑똑’, 교원구몬과 웅진씽크빅은 13~30개월에 맞춘 ‘베이비구몬’과 ‘깨치기 아기유치원’를 각각 내놨다. 한글교육 중심이지만 영어가 포함된 상품도 있다. 그간 만3세 이상 유아에 집중했던 한솔도 지난 8월 영아 대상 프로그램인 ‘핀덴베베’를 출시했다.
일선 영업점들은 더 공격적이다. 만3세 이상을 대상으로 출시된 한 영어 프로그램을 3세 미만 아이 부모들에게도 구매를 권유하기 일쑤다. 아이가 어릴 때부터 영어에 노출돼야 영어 습득에 유리하다는 논리다.
기존 만5세 이상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에 집중했던 학습지 업체들이 대상 연령을 대폭 낮춘 이유는 실적 악화 때문이다. 학습지 업체 1위인 대교는 지난해 3분기까지 306억원이던 누적 영업이익이 올해 같은 기간 258억원으로 15.7%(48억원)가량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학습지 시장의 포화, 출산율 저하, 불경기가 겹치면서 대부분 학습지 업체들이 대상 연령을 낮추는 추세”라며 “0~6세는 엄마들의 교육열이 높아 상품 반응도 좋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영유아 학부모들은 학습지를 시작하는 이유로 ‘불안감’과 ‘낮은 초기 비용’을 주로 꼽았다.
서울 동작구에 사는 황모(34)씨는 “몬테소리나 프뢰벨 같은 교구업체들의 영유아용 상품은 100만원이 훌쩍 넘는 게 대부분”이라며 “학습지는 과목당 월 3만~4만원으로 비용이 낮아 실패해도 큰 부담이 없어 쉽게 시작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너무 이른 선행학습은 교육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아이들의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원영 중앙대 유아교육과 명예교수는 “업체들이 ‘창의력 발달’을 내세우고 있지만 진정한 창의력은 강제적인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말하고 표현하고 부모와 스킨십 하는 가운데 생긴다”며 “너무 이른 선행학습으로 공부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 진짜 학습할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영유아기 반복 학습을 통한 지식 습득은 정상적인 교육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정욱 덕성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동물도 반복 훈련을 시키면 주인의 말을 알아듣고 시킨 일을 한다”며 “영유아들도 당연히 반복 학습을 통해 한글과 알파벳을 인지할 수 있겠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교육이라고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