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같은 오름세의 중심엔 양극재 기업이 있다는 분석이다. 양·음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003670)의 주가는 지난 1월 29.39% 급락했으나 2월 이후엔 26.82% 오르며 반등에 성공했다. 또 다른 양극재 기업인 에코프로비엠(247540) 역시 1월 25.87% 하락했다가 지난달 이후 27.17% 상승하며 비슷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양극재 핵심 소재인 리튬 등 메탈 가격이 반등하고 있는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양극재 기업은 리튬 가격이 상승하면 미리 저렴하게 구매한 광물로 만든 제품을 높은 판가에 판매하는 ‘래깅 효과’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다. 탄산리튬 가격은 지난 18일 기준 킬로그램(kg)당 106.5위안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평균과 비교하면 20.11% 오른 수준이다.
여기에 이달 들어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4’와 ‘민·관 합동 배터리 얼라이언스’ 등이 열리면서 이차전지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점도 관련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각 기업의 투자·연구개발(R&D) 계획. 전략과 더불어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다. 이 같은 잇따른 이차전지 관련 이벤트는 양극재 기업은 물론, 배터리 셀과 동박 등 소재 업체의 주가도 끌어 올렸다.
다만 증권가에선 이러한 오름세가 단기적 상승에 그칠 수 있다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종목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국내 배터리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중국산 배터리에 밀리며 점차 낮아지고 있어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셀 3사의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20.2%로 전년 동기 대비 4.2포인트(p) 하락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일부 배터리 소재·부품 업체들은 해외 업체들과 비교해 지나치게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다”며 “당분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확산 속도가 느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주가 하락이 충분해서 부담이 낮은 종목으로 중장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