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늘어난 인건비가 결국 세금, 공공요금 인상 등 국민 부담 증가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 통폐합 등 극약처방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비정규직 제로`를 내건 문 정부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정규직 전환을 강력 추진한 탓에 임직원 수는 해마다 급증했다. 특히 2018년 공공기관이 기획재정부를 거치지 않고 주무부처와의 협의만으로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한 자율정원조정제도 도입 후 2년간 연 4만명 안팎 폭증했다. 현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에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한전MCS 등 신규 지정된 공공기관 18곳 임직원 수만 1만3567명에 이른다.
한국전력은 지난해 5조8601억원의 사상 최대 적자에도 임직원 수는 2만3540명까지 늘었다. 한전 2091명을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 동서·중부·서부·남동·남부 등 6개 발전자회사에서 5년간 늘어난 임직원은 총 5396명이다. 이외에 △코레일테크 5200명 △근로복지공단 3968명 △한국철도공사 3898명 △한국도로공사 3087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3898명 △한국마사회 2018명 등에서 5년간 임직원이 크게 늘었다. 부동산 투기로 지탄받았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개혁안 발표 후 직원 704명을 감축했는데도, 2016년 말 대비 2342명이나 많다.
전문가들은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 등을 통해 조직과 인원을 축소해 공공부문 효율화를 제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비대해진 공공기관이 민간시장을 잠식해 경제 효율을 떨어뜨리고, 납세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기능 조정과 통폐합을 통해 자연스레 인력 구조조정을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완선 성균관대 시스템경영학부 교수 역시 “공공기관 기능과 역할을 재점검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인력을 재배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