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에 이렇자 국내 산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집권으로 기존 경제 정책 기조가 달라질 경우 경영 전략에 대한 상당한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트럼프노믹스(트럼프의 경제정책)의 핵심은 ‘반세계화·반중국·반친환경’이다. 더욱이 트럼프는 선거 구호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내걸었다. 1기 때보다 한층 강화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대표적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보편적 관세 10%, 중국산 60% 관세 등을 공약했다. 사실상 동맹국과 적국을 가리지 않고 관세를 활용해 무조건적으로 미국에 유리한 무역 조건을 가져오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미국이 트럼프 캠프의 공약대로 보편 관세 10%를 한국에도 부과할 경우 대미 수출이 152억달러(약 21조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 인터뷰에서 대만 방위비를 포함해 TSMC 등의 과도한 지원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 한국을 직접 거론하진 않았지만 이 같은 논리라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도 결코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묻자, 한 취재원은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한마디로 정리했다. 불확실성 확대는 흔히 기업 경영에 있어 리스크로 작용한다. 녹록지 않은 대외 환경이 펼쳐졌다는 얘기다.
다만 뻔한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위기가 때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도 있다. 예측 불가능한 리스크와 예측 가능한 리스크를 분리하고 면밀히 대응한다면 분명 또 다른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