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5개월. 모두의 일상이 바뀌고 있다. 마스크는 모두의 필수품이 됐고, 사람이 많은 곳은 으레 피한다. 재택근무에 보수적이던 기업들도 재택을 권장한다. 집콕 수혜주도 생겨났다. 넷플릭스, 웹툰 등 콘텐츠 관련 기업들과 간편식 등 식음료업체가 대표적이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동학개미로 불리는 개인투자자들의 행보다. 올해 국내 증시에서 37조5000억원이상 순매수하며 외국인(24조원)과 기관(15조원) 매도 행렬 속에서도 지수를 연고점에 올려놨다. 국내 증시는 무려 5개월 가까이 이렇다 할 조정없이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4일 열흘 만에 하락한 코스피지수는 그래도 2400선을 지켜냈다.
저점대비 상승률은 62.4% 수준이다. 9월 15일까지 공매도가 금지된 영향이라는 시각도 있고, 지난 10년간 박스피를 탈출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공존한다.
하지만 오르기만 하는 주식은 이 세상에 없다. 상승장에서 주식천재 아닌 사람이 없다지 않나.
대신증권 분석을 보면 미국 닷컴버블 시기인 1999년 10월부터 2000년 3월까지 4.6개월간 무려 87.8% 상승했지만 3월 10일 고점 형성 후 25일간 34.2% 조정받았다. 당시 조정의 트리거는 매출대비 시가총액이 10배가 넘는 기업이 속출한 탓이다. 문제는 코로나19 국면에서 닷컴버블 당시보다 매출의 10배가 넘는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들이 2배 가까이 많다는 점이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8월 중순 이후 미국증시의 가격조정은 시기의 문제일 뿐 모두가 필연적으로 나타날 국면이었음을 인지하고 있다”며 “9월 중순 전 나스닥 저점 형성시 공격적인 비중확대가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물론 미국 대선이 예정된 11월까지는 증시가 좀 더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하지만 평가차익은 평가차익일 뿐 실현하지 않으면 `숫자`에 불과하다. 수익이 났으면 현금화하고, 일정부분 조정에 대비한 전략을 짜는 게 현명하다.
`The big money in booms is always made first by the public on paper, and it remains on paper.(강세장에서 큰 돈은 늘 대중들이 먼저 벌지만, 그건 계속 평가이익으로만 남는다.)` 배트(Bat)를 짧게 잡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