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톱10 눈앞인데 '외딴섬' 전락 우려…킨텍스, 배후시설 개발 시급 [MICE]

킨텍스 3전시장 이르면 연말 착공
코엑스 5배 17.8만㎡로 규모 확장
유동인구 유입 늘려줄 배후시설로
기대했던 K컬처밸리 8년만 물거품
배후시설 없이 센터 활성화 어려워
K컬처밸리 지하몰 '원샷' 개발해야
  • 등록 2024-08-14 오전 8:00:00

    수정 2024-08-17 오후 11:58:33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데일리 이선우 기자] 국내 최대 규모 전시컨벤션센터 킨텍스(KINTEX)의 세 번째 전시장(3전시장)이 이르면 올 연말께 착공한다. 12일 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킨텍스는 최근 조달청과 3전시장 건립 용역을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조달청은 6340억 원이 넘는 공공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공사의 수의계약 전환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지만, 건립 필요성과 그동안 사업이 상당 기간 지체된 점 등을 전향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기존 킨텍스를 중심으로 한 고양 국제회의 복합지구 일대를 코엑스에 버금가는 관광·마이스 복합단지로 개발하려던 고양시의 계획에는 빨간불이 들어왔다. 기대를 모았던 ‘K컬처 밸리’ 조성사업이 사업 추진 8년 만에 전면 백지화되면서다. 그나마 배후 연계시설로서 역할을 해오던 테마파크 ‘원마운트’는 누적된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다.

이런 상태라면 올 연말 1차 개통(운정~서울역)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접근성 개선 효과는커녕 지역 소비시장이 서울로 옮겨가는 ‘GTX의 역설’을 더 걱정해야 할 판이다. GTX 개통, 3전시장과 앵커호텔 건립, 아레나 등 K컬처 밸리 조성으로 가시권에 들어왔던 킨텍스 일대 관광·마이스 복합단지 활성화의 청사진이 신기루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3전시장 2028년 상반기 완전 개장 예상

현재 1·2전시장을 합쳐 국내 최대 규모인 10만 8000㎡ 전시장을 보유한 킨텍스는 3전시장이 개장할 경우 전체 전시장 면적이 17만 8000㎡으로 늘어난다.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3만6000㎡)의 5배 규모다. 전시장 면적 기준 아시아에서 20위권 밖을 겉돌던 순위도 단숨에 10위권 이내로 진입하게 된다.

3전시장 건립은 올 연말 공사를 시작하면 3년 6개월(42개월)의 공사 기간과 6개월 남짓의 시험 가동을 거쳐 오는 2028년 초면 완전 개장이 가능해진다. 2021년 9월 착공해 2024년 하반기 개장하려던 당초 계획보다 4년 이상 늦춰진 일정이다. 2020년 1월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3전시장은 그동안 건설경기 침체와 코로나 사태, 건축자재비 인상에 따른 공사비 증가, 공사입찰 유찰 등 연이은 악재로 착공이 지연됐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조달청 관계자는 “수의계약 절차상 최대 120일가량 소요되는 기본설계기술제안서 작성과 심의 절차만 마치면 우선시공분에 대한 착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킨텍스 인근에 조성 중이던 K컬처 밸리 조성 전면 백지화로 기대했던 킨텍스 일대 활성화가 불투명해졌다는 점이다. CJ그룹이 2016년부터 장항동 일대 33만㎡ 부지에 조성하던 ‘K컬처 밸리’(CJ라이브시티)는 준공기한 연장, 지체상금 감면 등에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지난 7월 초 협약을 해제했다. 2027년 아레나 1차 개장에 이어 2030년 K콘텐츠 경험형 복합단지를 완전 개장할 예정이던 K컬처 밸리는 킨텍스 일대 활성화에 필요한 유동인구 유입과 체류시간을 늘려줄 핵심 배후시설로 기대를 모았다.

경기도가 ‘계획 원안 유지’, ‘신속한 공영개발’, ‘특별회계 신설’ 등 후속 대책을 내놨지만 건설·부동산 등 관련 업계에선 최소 10년 이상 장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예산을 투입해 건설은 경기도가 하고 운영은 민간에 맡기는 ‘건경운민’ 방식으로는 정부 타당성 조사 문턱을 넘기도 쉽지 않아서다.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당근책으로 자유경제구역 지정을 검토 중이지만 서울 외곽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벗어나 사업성을 높이기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공공예산 투입이 없는 100% 민자 방식으로 사업 규모(약 2조원)가 비슷한 서울 잠실 스포츠·마이스 복합단지도 2016년 최초 계획 수립부터 정부 타당성 조사까지 3년 반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착공 1년 반 만인 지난해 4월 공사가 중단된 경기 고양 일산동구 장항동 일대 ‘K컬처 밸리’(CJ라이브시티). 지난 7월 초 경기도와 CJ라이브시티는 준공기한 연장, 지체상금 감면 등에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사업 추진 8면 만에 협약을 해제했다. (사진=CJ라이브시티)
“단기간 내 아레나 공사 재개 현실적으로 불가능”

경기도 내부에선 기간 단축을 위해 중단된 아레나 공사(공정률 17%)를 이어가는 방안도 제기했지만 단기간 내 공사 재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토지매입비(1700억원) 환수, 매몰비용(약 5300억원) 보상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킨텍스가 배후 지원시설 확보 없이 3전시장을 개장할 경우 센터 가동 확보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게 전시컨벤션 업계의 우려다. 코엑스 전시장의 2배 크기인 7만㎡ 규모 3전시장이 적정 수준인 연평균 50% 내외 가동률을 유지하려면 최소 100건이 넘는 신규 행사 수요를 확보해야 한다.

한 중견 전시주최사 대표는 “킨텍스가 삼성동 코엑스몰, 잠실 롯데월드타워와 같이 유동 인구를 늘릴 배후시설 없이 GTX, 3전시장만 갖고 ‘외딴섬’ 꼬리표를 떼어 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지난 20여 년간 국내 최대 규모 전시장을 갖고도 연계시설이 없어 제대로 된 효과를 누리지 못한 상황이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고양 일산서구 대화동 킨텍스 1, 2전시장 전경. 킨텍스는 2005년 개장 이후 국내 최대 규모 전시장(10만8000㎡)을 갖추고도 배후 연계시설이 부족해 제대로 된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사진=킨텍스)
킨텍스 일대 활성화에 필요한 민간투자 확대, 사업성 제고를 위해 K컬처 밸리와 지하 킨텍스몰을 ‘원샷’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고양시는 지난해부터 킨텍스 1·2전시장 사이 대화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삼거리부터 킨텍스역, 한류월드 사거리까지 약 1.2㎞ 구간 지하에 킨텍스몰을 개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하 60m에 들어서는 GTX역 위로 남는 지하공간에 4층 규모로 구상 중인 킨텍스몰 규모는 연면적 42만㎡로 코엑스몰의 2.5배에 달한다. 지하 킨텍스몰 개발은 지난달 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한 기본구상용역을 마쳤지만, 구체적인 사업성 확보 방안 마련과 자유경제구역 지정 등 우선순위에 밀리면서 속도 조절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 및 부동산 개발 업계 관계자는 “경기도가 K컬처 밸리를 공영개발 하기로 하면서 줄어든 민간의 사업 참여 범위와 사업성 등 투자 매력도를 민자 개발 방식의 지하 킨텍스몰 개발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 스냅타임
    01월 15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01월 14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01월 13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01월 10일 오늘의 운세
  • 스냅타임
    01월 09일 오늘의 운세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초췌한 얼굴 尹, 구치소행
  • 尹대통령 체포
  • 3중막 뚫었다
  • 김혜수, 방부제 美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