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이 글에서 “수능 만점을 받은 어느 고등학교 3학년 수험생과 점심을 먹을 기회가 있었다”며 “그 학생은 고향 부산에 대한 애착이 상당했지만, 원하는 대학과 학과는 이미 정해진 듯했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대 경영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과 부모에게 ‘그러지 말고 부산대학교에 입학원서를 넣어보는 게 어떻겠냐?’고 말했다”면서 “내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식사하던 일행들이 ‘그런 무책임한 말이 어디 있냐’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그의 말을 들은 학생도 눈을 동그랗게 뜨고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고.
그러면서 “‘말은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서울로 보내라’는 속담은 서울을 향한 우리의 열등의식이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보여준다”며 “서울 이외를 뭉뚱그려 ‘지방’이라 부르는 데서도 깊은 차별이 배어 있다. 서울은 늘 세련되고 앞서가며 지방은 늘 어리숙하고 투박하다는 식의 이분법이 우리 사회를 지배해왔다”고 주장했다.
그가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 진학을 권한 것은 생의 재능이 ‘평범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면서 ““(그 학생이 서울대에 진학하면) 부산도 아닌 그저 경상도에서 온 어느 유학생에 지나지 않을지 모른다”며 “그러니 수능 만점자에게 지방대 진학을 권유한 본질은 경계를 뛰어넘는 리더가 되어 서울과 지방의 벽을 허물어 달라는 당부를 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수능 만점자가 서울대에 가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흔한 일이나 이를 당연하게 여기지는 말라는 권유였다는 것.
A씨는 “수능 만점자가 지방에 남는 것이 대단한 이슈가 되지 않는 사회를 꿈꾸는 것이 잘못일 수는 없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에 대해 온라인상에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진 가운데 “무책임한 발언이다”라는 지적과 함께 “충분히 고민해 볼 지점”이라는 등의 공감을 나타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