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중소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14년부터 스마트공장 보급을 지원해 왔다. 그 결과 스마트공장 수는 2014년 277개사에서 지난해 3만 2662개사로 증가했다.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수도 2016년 299개사에서 현재 2460개사로 8.2배 늘었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도국가 대비 기술 수준이 낮아 스마트제조 산업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해 중소기업의 기술수준을 현재 78.8%에서 84.4%로 5%포인트 이상 상향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스마트제조산업의 정의를 새롭게 마련하고 4대 영역 7대 전략분야를 설정했다. △자동화기기(식별시스템·머신비전 분야) △연결화기기(통신네트워크 장비, 제어·컨트롤러 분야) △자동화솔루션(생산관리시스템, 물류관리시스템 분야) △지능화서비스(디지털트윈, 제조 빅데이터·인공지능 분야) 등이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는 정책자금 지원은 물론 민간은행과 협업을 통해 저리 대출 지원에 나선다. 스마트제조 관련 신기술 분야 벤처·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제조혁신벤처펀드’도 조성해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한다.
기술 분야에서는 500개 핵심장비 데이터를 표준화해 기업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유사 업종의 제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을 위해 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을 활성화한다.
역량이 부족한 지역기업의 불량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특화 제조AI센터’를 설치·운영한다.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스마트제조산업 정책협의회’도 구성해 정책 의제를 도출할 계획이다.
오 장관은 “이번 대책은 중소제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넘어 스마트제조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육성하기 위한 미래 청사진을 제시한 게 핵심”이라면서 “대한민국이 초일류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제조산업 각 분야의 균형있는 발전과 지원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지정과 육성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 다수 배출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