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주오 이유림 기자] 북한의 핵 위협이 날로 노골화되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최근 군 부대 훈련을 직접 지휘하며 “적들과 대화할 내용도 없고 그럴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며 위협 발언도 쏟아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연일 ‘한미일 안보협력’을 강조하며 북한의 핵 위협에 국제연대로 맞서겠다고 맞불을 놨다.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방한 중인 존 아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을 접견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
|
대통령실은 북한의 잇따른 무력 도발과 관련해 10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말이 아닌 현실의 문제”라며 “한반도와 동북아의 엄중한 안보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제대로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북한에 대해 한미동맹과 한미일 3자 안보협력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 위원장이 지난달 25일부터 전날(9일)까지 조선인민군 전술핵운용부대·장거리포병부대·공군비행대의 훈련에 참석했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북한 노동당 창건일 77주년인 이날 “적들과 대화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놓은 데 이어 전술핵 운용부대를 직접 지도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추가 도발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통신이 이날 공개한 훈련 모습에는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새로운 미사일 플랫폼을 소개하며 전쟁위협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공개된 사진에는 ‘미니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한판 이스칸데르 탄도미사일(KN-23), 화성-12형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초대형 방사포 발사와 이를 현장에서 참관하는 김 위원장의 모습이 담겼다.
특히 지난달 25일 북한은 내륙 저수지에서 SLBM을 발사하는 방안을 처음으로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북한이 SLBM을 해상이 아닌 내륙 저수지에서 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SLBM 기술이 더 고도화 됐다는 것으로, 우리 군의 탐지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뜻한다.
| 리설주 여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지난달 29일부터 보름간 진행된 전술핵운용부대 군사훈련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
|
북한은 전날(9일) 오전 1시48분~58분쯤 강원도 문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두 발 발사했다. 지난달 25일 이후 일곱 번째 무력 도발이자 올해 들어 스물 아홉 번 이뤄진 미사일 발사다.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는 탄도미사일 발사로는 23번째다. 특히 북한이 오전 1시 이후 심야 시간대에 미사일을 쏴 올린 건 올해 처음이다.
한반도에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윤 대통령은 ‘한미일 안보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전쟁 억지력을 강조하고 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전날 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은 한미 확장억제를 획기적으로 강화해 북한의 핵 위협을 억제하고자 한다”며 △한미일 대잠수함훈련 △한미일 미사일 방어훈련 △한일 정상 통화 △로널드 레이건 항공모함의 한반도 수역 재전개 등의 사례를 소개했다.
한미 해군은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동해상에서 양국 함정을 동원해 연합 해상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 지난 2017년 11월 이후 약 5년 만에 ‘떠다니는 군사기지’로 불리는 원자력추진 ‘로널드 레이건’ 항공모함이 참가했다. 레이건함은 이달 6일 북한이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발사하자 모항으로 돌아가다 동해로 뱃머리를 돌리기도 했다.
우리 군 자체적인 대응도 있었다. 북한이 지난 6일 한미일 연합훈련에 대한 ‘시위성’으로 군용기 편대비행에 나서자, 우리 공군은 F-15K 전투기 등 군용기 30대를 동원해 즉각 대응 비행에 나섰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김정은 위원장이 대화의 내용도 없고 대화의 필요성도 없다고 언급한 것은 당분간 핵무력 강화와 강대강 맞대응에 방점을 두겠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다만 양 교수는 “경험적 사례에 비춰보면 미국의 대선과 중간선거 후에 북미관계의 국면이 전환된 사례가 많았다는 점,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 폐기 및 6 ·12 존중을 분명히 한다면 내년 상반기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