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기획재정부 의뢰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작성한 ‘대규모 재정사업의 효율적 관리방안’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까지 종료 예정인 총사업비 관리대상 SOC 사업 297개의 최초 총사업비는 평균 1573억4600만원이었지만, 2012년 총사업비는 평균 1920억400만원으로 평균 346억5800만원(22%) 늘어났다.
정부는 국가 예산이 들어가는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민간기관 사업 중 사업기간이 2년 이상,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인 토목·정보화 사업과 총사업비 200억원 이상인 건축사업을 대상으로 ‘총사업비 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총사업비 관리제도란 기본설계·실시설계·계약·시공 등 사업추진 단계별로 설계변경 등에 따라 공사비와 보상비, 시설부대경비 등 총사업비 변경요인이 발생한 경우 사업 시행부처와 기재부가 협의해 총사업비를 조정하는 제도다.
‘평균 총사업비 상승 22%’라는 수치에는 물가상승분도 포함돼 있다. 보고서는 한 사업의 일반적인 물가상승분을 총사업비의 10% 내외라고 보면 평균적으로 약 10∼15% 내외에서 총사업비가 증액된 것이라고 봤다.
부처별로 보면 2012년까지 종료예정인 사업 297개 중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사업이 174건으로 가장 많았다. 평균 총사업비 상승률은 30%로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유형별로는 광역철도 사업이 최초 총사업비 대비 총사업비가 평균 2.8배로 상승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항만(2.5배), 광역도로(2.0배), 산업단지진입도로(1.6배), 국가지원지방도(1.5배) 사업이 뒤를 이었다.
환경부는 15개 사업이 평균 52.7%의 총사업비 상승률을 나타냈다.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는 11개 사업 평균 총사업비 상승률이 46.7%였다.
보고서는 “착공 전 용지보상비를 선(先)지급하거나 예상되는 설계변경을 모두 반영하고 용지보상이 80∼90% 진행된 상태에서 입찰을 시행해 최초 계획대로 사업이 진행되도록 제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또 “사업기간의 장기화는 설계변경의 증가, 물가변동분 보상, 각종 민원 증가로 이어지므로 기간이 10년 이상 장기화하고 있는 사업은 성과 목표 재점검을 통해 진행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재부는 이번 연구 내용을 토대로 토지 보상비 제도 개선 등을 중심으로 총사업비 관리제도를 손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