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청회가 개최되기 전부터 현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다. 농수산 단체들이 공청회 시작 전부터 ‘농어민 생존권 사수’라고 적힌 붉은 머리띠를 두르고 “CPTPP 중단하라”라는 구호를 크게 외치며 진행을 방해했다.
전윤종 산업부 통상교섭실장은 개회사를 통해 “장내가 소란스러운데 이 또한 농어민들의 의견이라 생각한다”며 “소중한 의견을 청취하며 전문가 토론을 같이 진행하도록 하겠다”며 공청회를 강행했다.
이후 산업부의 CPTPP 개요 및 추진경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CPTPP 가입의 경제적 타당성 검토 등이 진행됐지만, 객석을 채운 농어민 단체들이 연신 “CPTPP 중단하라” 구호를 외쳐 공청회는 여러 차례 중단됐다.
전 실장은 농수산단체의 거센 반발 속에도 발표자들에게 “짧게 발언해 달라”고 부탁하며, 공청회를 이어갔다. 이에 정부 측 관계자들이 △산업부의 제조업 보완대책 △농축산식품부의 농림축산업 보완대책 △해양수산부의 수산업 보완대책 등 CPTPP 가입 관련 국내 보완대책 방향을 약 5분 여씩 설명했다.
|
토론 패널로는 이시욱 KDI 국제대학원 교수, 조영진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 김태환 중소기업중앙회 국제통상부장, 김영철 전국어민회총연맹 집행위원장, 정대희 농촌경제연구원 전문연구원, 김봉태 부경대 경제학부 교수, 이종화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 양기욱 산업통상자원부 FTA정책관, 이상만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국장, 김현태 해양수산부 국제협력정책관 등이 참석했지만, 토론회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
성난 농수산단체들의 거친 욕설과 구호가 계속 되자, 전 실장은 결국 공청회를 마무리했다. 공청회는 당초 오전 9시30분부터 11시30분까지 2시간 진행하려 했으나, 약 1시간 만에 종료됐다.
전 실장은 “공청회 과정에서 CPTPP의 영향, 보완대책 등의 내용은 온라인 중계와 책자를 통해 충분히 전달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추가 의견이 있으면 서면으로 정부 담당 부처에 제시해 달라”고 언급했다. 이어 “오늘 공청회는 여기서 마무리하겠다”며 “여러분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서 CPTPP 가입 관련 다음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