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통 밀어낸 쿠팡이츠…뒤에서 웃는 배민 왜?

쿠팡이츠, 배달통 제치고 배달앱 점유율 3위 도약
배민·요기요 포함 3사 합병 독점 우려 덜어 `호재`
확대 해석 경계…"플랫폼 산업 점유율 밀리면 회복 어려워"
  • 등록 2020-08-13 오전 11:01:30

    수정 2020-08-14 오전 11:01:53

[이데일리 전재욱 기자] 배달통이 배달 앱 시장 3위 자리를 내어주고 뒤로 밀려나면서 ‘점유율 다이어트’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위 사업자 배달의민족과 2위 요기요까지 3자 합병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셋의 합산 점유율이 낮을수록 잡음이 줄어들 수 있어서다. 다만, 여전히 점유율 90% 이상을 유지하는 터라 합병 심사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2보 전진 위한 1보 후퇴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배달 앱 시장 점유율 순위는 배달의민족과 요기요가 1위와 2위를 각각 지킨 가운데 3위 사업자가 바뀌었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집계 기준으로 배달 앱 사용자(안드로이드 OS)는 배달의민족(970만여명), 요기요(492만여명), 쿠팡이츠(39만여명), 배달통(27만여명) 순이었다. 배달 앱 시장에서 쿠팡이츠가 3위로 올라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럼에도 시장은 배달통을 패자로 취급하지 않고 있어 짚어볼 만하다. 배달 앱 시장 점유율이 이렇게 재편하면 큰 그림에서 회사에 불리할 게 없기 때문이다.

배달 앱 시장을 나눠 갖고 있는 배달의민족(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요기요, 쿠팡이츠, 배달통.
현재 요기요와 배달통을 운영하는 딜리버리히어로(DH)가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을 합병하려고 기업결합 심사를 받는 데 대한 반대 목소리가 큰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3사의 시장 점유율은 99%에 가깝다. 기업 결합을 심사하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독점’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통의 힘이 빠진 것이라서 전보다 독점 우려가 줄었다.

이런 이유에서 ‘배달통의 점유율이 줄어든 게 아니라, 점유율을 줄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보 전진하고자 1보 후퇴’하는 전략을 취했다는 것이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DH와 우아한형제들 주변에서 오히려 배달통 시장 점유율이 줄어든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며 “합병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공공영역까지 시장에 관여하기로 선언한 터라, 배달의민족 입장에선 반길 일이다. 경기도는 지난달 공공형 배달 앱을 개발할 사업자로 NHN페이코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고, 서울시는 내달 제로배달 유니온을 출범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공공형 배달 앱이 성공할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사업자 생태계가 풍부해지는 자체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소수 사업자’의 ‘시장 과점’ 논란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업계에서 배달의민족을 적극적으로 견제하는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되레 ‘합병 백기사’로 평가하는 건 이런 배경에서다.

시장 9할 점유하는데…엄살 ‘글쎄’

그럼에도 DH와 우아한형제들의 합병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배달통을 계기로 점유율 하락을 논하기에는 파장이 잔잔한 게 문제다.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2곳의 점유율만 합산해도 90%가 넘는 데다, 쿠팡이츠의 약진을 논하기에도 역부족이다. 쿠팡이츠는 사업 지역이 아직 서울과 수도권 일부에 한정돼 기반이 빈약하다. 지역 확장성이 부족해 점유율을 따지기에 이른 편이다. 쿠팡이츠 배달 품질에 대한 아쉬움도 불안 요소다.

지난달 7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의 ‘배달의민족’ 기업결합 심사 관련 의견서 제출 기자회견에서 이호준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가맹대리점분과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규제 당국 관계자는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점유율 합산이 90% 이상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라며 “어느 시장에서든지 이런 독점 주체가 탄생하면 누구도 뒷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점유율을 조정하는 시도 자체가 과점 사업자로서의 지위를 과시한 것으로 비칠 수 있다. 기업 결합 심사에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일단 점유율이 빠지면 다시 회복하리라고 장담하기 어려운 점도 변수다. 시장은 생물(生物)과 같아서 늘 틀 안에서 움직인다는 보장이 없다.

DH 관계자는 “배달 앱 회사별로 시장 점유율이 변했는지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다만 배달 앱 시장 특수성을 고려하면 단기간에 뒤바뀐 순위가 지속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회사는 잘되는 사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배달통은 현상 유지를 한다는 게 회사의 방침”이라고 말했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플랫폼 비즈니스는 확장성이 생명”이라며 “시장경쟁 상황이 치열해지면서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전사적으로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G마켓과 옥션이 합병 때 시장점유율 89%의 기업이 나온다고 논란이 있었지만, 불과 10년만에 이커머스 시장의 점유율이 완전히 뒤집어졌다”며 “플랫폼 산업은 점유율 경쟁에서 밀리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의도적인 점유율 줄이기는 있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무안공항 여객기 잔해
  • 시선집중 ♡.♡
  • 몸짱 싼타와 함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