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기준금리 수준과 비교하면 올해 2회, 내년과 후년 2~3회 인하 횟수가 추정된다. 그는 “3월 점도표 대비 연간 금리 인하 횟수가 줄어드는 만큼 다소 매파적 해석이 예상되나 과거 대비 금리 상승 압력은 낮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 연구원은 “오히려 내년과 후년 전망치가 예상보다 낮을 경우 도비시한 해석이 우세해질 여지가 있다”면서 “6월 FOMC 경계가 금리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FOMC 확인 후 추가 금리 상승 여력이 낮을 것으로 보는 가장 큰 이유”라고 짚었다.
한국의 경우 1회 인하 기대가 타당하다고 봤다. 물가 외에 외환시장 상황도 고려해야 하는 한국은행 입장에서 연준 금리인하 기조 유지는 향후 약달러 기대와 원화가치 안정을 바라보게 할 요인으로 꼽았다.
이에 한국은행의 연내 금리 인하 힌트가 구체화되기 전까지 주요 국고채 금리는 박스권 움직임을 전망했다. 그는 “7월 말까지 국고 3년 기준 3.30% 이하는 과도한 하락 영역이며 저가 매수에 불리하다”면서 “국고 3·10년 스프레드도 평균 15bp(1bp=0.01%포인트) 수준을 감안하면 5bp 내외 근접 시 추격 매수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