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한국은행이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발언을 통해 금리 인하 기대감에 제동을 걸면서 시장금리가 들썩이고 있다. 국고채 금리와 단기물 금리가 일시적으로 기준금리를 넘어서기도 했으나,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되살아나면 시장금리가 다시금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
지난달 25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0%로 3연속 동결했다. 이후 국고채 및 단기물 금리가 동시에 상승하기 시작했다. 특히 30일 기준 국고채 3년물(3.555%), 5년물(3.578%), 10년물(3.653%) 등이 모두 기준금리 수준을 넘어서기도 했다.
통상 채권시장에서 기관투자자는 CD 등 단기물로 자금을 조달해 국고채 3년물 등 장기물로 자금을 운용한다. 기본적인 투자 운용 수익률이 되는 국고채 3년물 금리는 기준금리를 20~30bp(베이시스포인트·1bp=0.01%포인트) 정도 웃돈다.
최근 시장금리 인상은 이창용 한은 총재의 발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한국이 절대로 (기준금리 인상을) 못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아달라”며 매파적 발언을 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감이 성급했다는 인식이 확산하며 금리가 즉각 반응했다. 또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예상을 기존의 1.6%에서 1.4%로 낮추는 등 경기에 대한 우려를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되살아나면 시장금리가 다시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기준금리가 충분히 인하된 뒤 금리 역전 현상이 해소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 2019년 역(逆)캐리 상황에서도 한은의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하 이후 역캐리 현상이 해소된 바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최근 시장금리의 오름세는 (추세적 흐름보다는) 일시적 흐름으로 지난주 금통위에서의 한은 총재의 발언과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등이 국내 채권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다만 물가 둔화세나 수출 급감 등 전반적인 경제에 대한 기대들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며, 금리 인하 기대는 하반기를 거치면서 다시 살아날 재료”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