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망 체계를 촘촘히 하면서 예측 가능한 단계적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하겠다”면서 “비핵화 국제 공조를 주도해 한미일 확장 억제력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북한 핵미사일 능력을 무력화하겠다”고 공약했다.
이어 “북핵 문제는 단순히 남북만이 아닌, 핵확산금지조약(NPT)과 관련된 국제적인 이슈”라며 “과거 한국·북한·미국·중국이 참여하는 4자 회담, 여기에 러시아·일본을 더해 6자회담까지 진행했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가 없었다”고 돌아봤다.
윤 후보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남북미 3자 상시 회담’을 제안했다. 그는 “판문점이든 미국 워싱턴이든 세 국가가 상시적으로 만날 수 있는 장소에서 회담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북핵 문제가 진전되면 나중에 4자 혹은 6자 회담을 통해 국제 사회의 승인을 받는 결론이 나오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또 “북핵 위협으로부터 한국 나아가 동북아의 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파이브 아이즈 같은 협조 체제가 필요하다”면서도 “당장 우리에게 핵 추진 잠수함이 필요한 건 아니다”라고 바라봤다.
윤 후보는 “비핵화가 비가역적으로 진전돼서 남북이 광범위한 경제협력 관계를 수립한다면 평화협정과 종전선언이 언제든 함께 갈 수 있는데, 지금 상태에서는 의미가 약하거나 국제사회나 한국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가능성이 크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정권 말 추진 중인 종전 선언에 반대했다.
마찬가지로 현 정권의 ‘삼불정책’에 대해서도 “중국과 맺은 협정도 약속도 아닌 현 정부의 입장에 불과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윤 후보는 현 정부의 대일 정책에 관해 “한일 관계가 존재하느냐 할 정도로 외교 자체가 실종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외교는 양국의 이익에 입각해서 실용주의적으로 방향을 잡아야 하는데, 대일 관계를 국내 정치에 너무 끌어들이는 게 원인”이라며 “이게 한중 한미 관계에도 좋지 않은 영향 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일관계가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게 미래로 향한다면 결국 과거사 문제에 관해서도 우리 국민이 수용할만한 정도의 일본 정부와 국민의 입장이 나오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