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권 주도로 올해부터 시행된 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검찰의 수사권은 6대 범죄(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사업·대형참사)로 대폭 축소됐다. 이에 더해 여당은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을 설치해 검찰의 수사권을 완전히 폐지하고 검찰을 기소 전담 기관으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 같은 여권의 검찰 개혁 드라이브가 이번 선거에서 국민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오히려 검찰의 수사권 축소로 인한 부작용이 부각됐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법조계에선 이번 선거에서 표출된 표심이 현 정부가 4년 동안 검찰 개혁에만 열중한 채 민생을 돌보지 않은 것에 대한 방증이라고 분석한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먹고사는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이번 민심을 받아들여, 더 이상 검찰을 제도적으로 개혁한다고 흔드는 것이 아니라 국정·검찰 정상화 수순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권 내에서도 검수완박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감지된다. 김해영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8일 페이스북에 “지금 검경 수사권 조정의 안착을 위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데, 검수완박을 도대체 무슨 이유로 주장하는지 모르겠다”고 일침을 가했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최근 선거 결과가 나오기 전 한 방송에서 “이번 선거에서 나쁜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대대적인 쇄신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검찰 개혁을 중단 없이 추진하겠다는 목소리도 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본인의 페이스북에 “검찰 개혁 때문에 선거에 진 것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그러나 지지자들과 국민은 검찰 개혁 때문에 지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