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접수가 마감된 레지던트 1년 차 과목별 지원 현황에 따르면 산부인과는 188명을 모집했으나 1명만 지원했다. 흉부외과는 65명 중 2명, 방사선종양학과는 단 한 명도 지원하지 않았다.
|
다만 인기 진료과 또한 사정이 녹록지만은 않다. 관계자들은 의료 현장을 떠났던 사람이 지원하거나 비인기 진료과 전문의가 개업하려고 지원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소연한다. 이로 인해 일부 지원자는 수련병원 교수보다 나이가 많다. 한 대학병원 수련담당 교수는 “이참에 투 보드(전문의 자격 2개)를 따려는 의사들이 지원하는 경우도 있고 의대만 졸업하고 사업하다가 지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병원에 남아 진료하기보단 빨리 개업할 생각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의료계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한다. 체감되지 않는 필수의료 지원 정책과 강압적인 의대 정원 확대, 낙수 효과로 필수의료 담당 의사를 채우는 방식 등이 일부 진료과 기피 현상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한 대학병원에서 중증 희귀질환을 진료하는 소아정형외과 교수는 “의사가 늘어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면서 “(의대 정원 확대는) 겨우겨우 버티던 의료분야에 말뚝을 박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굳이 전문의를 하지 않아도 고수익이 보장되는 일부 진료만 하는 의사가 양산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결국 의료계는 단순히 의사 숫자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존중과 보상’이 담보되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A 교수는 “일단 필수의료분야에 종사하는 게 사회적으로 존중받고 대우받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제일 먼저”라면서 “사법 리스크도 없애고 필수의료가 비필수의료에 비해 어떤 형태로든 보상이 높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