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와 관련 이날 브리퍼로 나선 이정수 법무부 검찰국장은 “과거 검사 출신 장관과 검사 출신 총장 사이 (어떤 측면에서는) 원활한 협의가 됐다고 볼 수 있지만, 자료가 없어 역사적 평가를 받을 수 없었다”면서 “‘검찰총장이 낸 의견을 법무부 장관이 얼마나 수용하는가’ 여부는 차치하고라도 장관과 총장이 주고받은 내용을 역사적 기록으로 남기자는 것에서 고민이 시작됐다”라고 부연했다.
이 국장은 해당 자료가 향후 인사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참고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기록 자료를 외부에 공개하진 않을 계획이다. 검찰총장과 법무부 장관의 면담 시간·장소 등도 공표하겠다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 국장은 “인사는 내밀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인사에 있어서 ‘네거티브(negative)’ 전략이 아닌, ‘포지티브(positive)’ 전략을 취한다는 방침이다. 가점 위주의 인사라는 셈이다.
법무부는 형사부·여성아동범죄조사부·공판부에 대한 가점을 강화할 방침이다. 법무부는 주요 보직 기회 부여 시 형사부·여성아동범죄조사부·공판부 등에서 근무하고 인권보호 및 사법통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검사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형사부·여성아동조사부·공판부 등에서 전문성을 쌓은 검사를 관련 부서 부·과장으로 적극 발탈하도록 부서장 보임 시 경력 요건 충족을 강화할 예정이다.
그렇다고 기존 ‘특수부’·‘공안부’ 검사를 홀대하겠다는 것은 아니다. 이 국장은 “특수부 등을 홀대하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하고도 빛을 못 본다는 말이 있는 형사부 등도 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국장은 “앞으로도 복무평가시스템을 개선하고, 검찰 조직개편도 이에 부합하는 방안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일반 형사사건, 여성아동범죄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사건의 수사, 공소유지에 최선을 다한 검사들도 우대받는 인사원칙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 장관은 지난 2월 취임 직후 검찰 고위 간부 및 중간 간부 인사를 소폭으로 단행했다. 이와 관련 박 장관은 지난해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윤석열 전 검찰총장 패싱 등 논란을 의식해 검찰 인사 전 윤 전 총장을 두 차례 만나 일부 의견을 반영했으나 ‘추미애 시즌2’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