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금융센터는 31일 ‘글로벌 폭염 확산의 거시경제 파급효과’라는 보고서를 통해 폭염이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을 내역별로 보면 소비와 투자, 수출 부문에서는 감소 압력이 더 크고, 정부지출에서는 증가 요인이 우위라고 밝혔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경제리스크분석부장은 “우선 가계 소비의 경우 냉방·의료비 지출이 소비로 연결되지만 이로 인해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고 근로소득 감소 등이 예상돼 총소비를 축소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기업투자에도 폭염은 부정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냉방시설 신규투자는 GDP 견인 요인이지만, △에너지 비용 증가 △노동자 보호 필요성 증대 △노동생산성 감소 등으로 조업시간이 단축될 경우 산출량이 감소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수출입 측면에서는 폭염으로 신흥국의 농산물ㆍ노동집약적 재화의 생산이 줄면서 수출 물량이 감소하고, 해상운임이 오르면서 수출입이 모두 제약된다. 다만 선진국은 신흥국산 식량과 에너지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명목 수입액은 증가할 수 있다고 김 부장은 부연했다.
정부지출은 폭염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민간부문 생산성 감소로 세수는 다소 감소하겠지만 폭염에 따른 긴급 구호와 공공보건 서비스 제공, 인프라 보수 비용 증가로 정부 총지출은 증가한다는 이유에서다.
이어 “하절기 폭염으로 인한 농산물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은 주요국 통화정책의 완화 여력을 단기적이나마 제약할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전력 인프라 등이 미흡해 폭염 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신흥·중저소득국 등이 농산물과 저가 소비재 등을 선진국에 주로 수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폭염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과 이에 따른 선진국의 물가상승 압력 우려가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김 부장은 “폭염으로 기간시설이 훼손된 이후 재투자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생산적 파괴(Productive destruction)’ 현상이 발생해 성장률이 일시적으로 제고될 여지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