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미 원전동맹’ 선언 후 두 나라를 대표하는 원전 기업들이 실질적인 협력의 신호탄을 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다만 향후 원전 수주에 있어 주도권을 쥐려는 양측의 샅바싸움으로 세부 항목에 대한 의견 조율에 실패하고, 큰 틀에서 원론적인 수준의 합의만 도출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미 원전 대표 기업 ‘실질적 협력’ 물꼬
9일 한전에 따르면 정승일 한전 사장과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패트릭 프래그먼 웨스팅하우스 사장과 각각 면담을 갖고 해외원전시장 공동 진출을 위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달 21일 서울에서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신형 원자로 및 소형모듈원전(SMR)의 개발과 수출 증진을 위해 양국 원전 산업계가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한미 원전동맹을 선언한 데 따른 후속 작업의 성격이 짙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프래그먼 사장과의 면담에서 “해외 대형 원전시장에 공동 진출하기 위한 협력 모델을 개발하고, 그 외 다양한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한국의 우수한 사업 관리 능력과 기술력, 공급망과 웨스팅하우스가 보유한 강점이 결합한다면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전과 한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면담을 통해 웨스팅하우스와 포괄적인 협력 의지와 기본 원칙을 확인하는 등 실질적인 원전 협력의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했다. 한전과 한수원은 향후 웨스팅하우스와 공동 워킹그룹이나 위원회를 구성해 해외 원전사업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고 국내 원전산업 생태계를 회복시키겠다는 정부의 정책 목표에 부응하기 위해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공동 선언문’ 돌연 취소…“실리 찾는 과정”
양국 정상의 ‘원전동맹’ 선언으로 이제는 조력자가 됐지만, 사실 한전·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는 신규 원전 사업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다.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는 체코 두코바니, 폴란드 루비아토프-코팔리노 등의 신규 원전 수주를 놓고 프랑스전력공사(EDF)와 3파전을 벌이고 있다.
웨스팅하우스는 본인들이 사업 수주 후 한국에 시공, 부품 납품 등 후방산업을 맡기는 형태의 공동 수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주력 수출원전인 ‘APR1400’의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웨스팅하우스가 지식재산권(IP) 문제를 제기하며 기싸움을 펼쳤을 가능성도 있다.
공동 수출의 주도권을 놓고 벌이는 양측의 샅바싸움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한국과 미국 모두 원전 수출의 주도권을 쥐려 하는 상황에서 양측 모두를 만족하는 협상안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실리와 명분을 찾으려는 양측의 협상 심리전이 체코, 폴란드 등 신규 원전 사업자 결정이 임박하는 시점까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