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천안과 아산 등 북부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군에서 노인 인구가 젊은이보다 많은 ‘역삼각형’ 인구모형으로 지역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심재헌 연구위원이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충남리포트 225호’에 따르면 2040년까지 충남과 세종을 제외한 전국에서 인구의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 기간 대전과 세종을 포함한 충청권의 전체 인구는 438여만명(전 인구의 8.6%)으로 서울시와 인천시를 포함한 수도권(전 인구의 50.0%), 부산시, 울산시를 포함한 경남권(전 인구의 14.5%) 다음으로 인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충남 인구는 2040년까지 연평균 0.65%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난해 말 기준 210만명에서 245만명으로 35만명 증가한다.
그러나 유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고령층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40년에는 15세 미만의 인구는 전체 인구의 11.4%에 불과하고,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28.9%를 점유하게 된다.
충남 금산과 서천, 청양은 지난해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했으며, 2020년에는 공주와 보령, 논산, 부여, 홍성, 예산, 태안이, 2030년에는 서산과 계룡이, 2035년과 2040년에는 천안과 아산, 당진 등도 초고령사회로 추가 진입하게 된다.
심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충남 시·군의 장래 인구를 성별·연령별로 2040년까지 5년 단위로 추계한 결과”라며 “지역별 인구 증감의 차이가 컸으며, 천안, 아산, 당진, 서산 등 4곳을 제외하고는 2040년까지 인구가 감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2040년 충남 인구의 평균 연령은 48세로 추계됐지만 부여와 서천은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 연구위원은 “2040년의 15세 미만 인구는 전체인구의 11.4%에 불과하고,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인구의 28.9%가 될 것”이라며 “충남 도민의 3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인구 격차에 대응하는 다층적 공간 계획 수립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및 ‘지방 소멸’에 대응하는 선제적 정책 발굴 등을 주문했다.
관련 전문가들도 “충남에서 대규모 개발이 더 이상 이뤄지기 어렵다는 전제로 주변 시·군 간 상생은 물론 지역 내 읍면동의 공생 계획을 세워야하고, 대전과 세종을 아우르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광역도시계획을 실효성있게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지역의 활력이 저하되고 성장기반이 위축될 수 있다. 단순 복지 차원을 넘어 노인의 생활 전반에 걸친 정책을 발굴해야 하고, 저출산 해결을 위한 더 많은 재정 투입과 주거, 보육, 일자리 등의 완결성 있는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인구 유출을 최소화하고 유입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