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헬릭스미스 경영진 방패막 된 '글래스루이스' 이유는

글래스루이스, ISS와 함께 세계적인 자문기관으로 꼽혀
시가총액이나 외인 투자자 비율 등 일반적 기준에는 맞지 않아
  • 등록 2023-02-02 오후 5:01:55

    수정 2023-02-02 오후 5:01:55

[이데일리 이광수 기자] 소액주주와 오랜 기간 갈등을 빚고 있는 헬릭스미스(084990)의 주주총회에서 세계적인 의결권 자문기관이 꾸준히 의견을 내는 것에 대해 관련 업계의 의문이 커지고 있다. ISS와 함께 양대 자문기관인 미국의 글래스루이스(Glass Lewis)는 최근 사측이 제시한 모든 의안에 대해 찬성할 것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글래스루이스는 2020년부터 올해까지 총 세 차례 헬릭스미스의 임시주총에 대해 의견을 냈다. 모두 당시 경영진의 입장에 무게를 실어주는 보고서였다.

헬릭스미스를 인수해 최대주주로 올라선 카나리아바이오엠은 헬릭스미스 창립자 김선영 대표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동시에 김병성 세종메디칼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홍순호 신한회계법인 전무·박성하 법무법인 동인 소속 변호사·김정만 법부법인 정행인 대표변호사를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으로 선임하는 내용의 임시주총을 1월 31일부터 2월 1일까지 이틀간 진행했다.

임시주총에 앞서 글래스루이스는 안건에 대해 모두 찬성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결과적으로 김병성 세종메디칼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만 부결되고 나머지는 통과됐다. 소액주주연대 비상대책위원회 측은 김선영 대표 사내이사 선임을 뺀 나머지 안건은 모두 부결시키겠다는 입장이었다.
헬릭스미스 마곡 R&D센터 (사진=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시장에서는 세계적인 의결권 자문기관이 한국의 바이오테크인 헬릭스미스에 여러 차례 의견을 내고 있다는 점에 의구심을 표한다. 글래스루이스는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안이나 2019년 현대차의 지배구조 개편안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의 안건에 대해서 등장해왔던 기관이다. 이들 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금이 작지 않아서다.

헬릭스미스의 시가총액은 4000여억원밖에 되지 않아 일반적인 의결권 자문기관의 커버리지에 속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시장에서 주는 시사성이 클 경우 작은 기업이어도 커버하기도 한다. 다만 헬릭스미스는 국내 1세대 바이오테크로 오랜 기간 연구를 해왔지만, 이렇다할 신약을 출시하지 못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유의미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보기도 어렵다.

A의결권 자문기관 고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자문기관의 각자의 커버리지가 있다. 대체로 대형회사로 시가총액이 큰 회사 중심으로 한다”며 “시가총액이 작은데 나오는 경우는 소액주주들이 의뢰를 한 경우”라고 설명했다. 관련해 국내 소액주주는 글래스루이스에 안건 분석을 의뢰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상장회사가 직접 자문기관에 보고서를 의뢰할 수는 없다. 따라서 헬릭스미스의 외국인 주주가 요청했을 가능성이 높다. 헬릭스미스 관계자는 “주총을 앞두고 한국예탁결제원의 상임대리인을 통해 외국인주주 의결권을 행사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다 보니, 그 기간을 앞두고 의안에 대한 권고 형식의 보고서가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헬릭스미스를 유의미하게 펀드에 담고, 글래스루이스에 자문을 구할 정도로 외국인 지분이 많지는 않다. 헬릭스미스가 밝힌 외국인 주주 보유율은 8~9%정도에 그친다. 외국인 보유비율이 50%가 넘는 삼성전자, 30%인 현대차와는 절대 규모는 물론 비율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이사 (사진=뉴시스)
B의결권 자문기관 고위 관계자는 “고객인 자산운용사나 연기금 등이 의미있는 규모를 투자했다면 의뢰를 한다. 다만 연기금은 운용 규모가 크다 보니 스몰캡에 의미있는 규모의 투자하기가 어렵다”며 “결국 소규모 운용사 등이 (헬릭스미스 같은) 스몰캡에 투자하는데, 한국 시장은 분석하는 것 자체가 역마진이다. 인건비가 도저히 나올 수 없는 단가일텐데, 분석을 했다는 것은 여러 기관이 요청했거나 다른 이유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헬릭스미스 경영진의 해외 네트워크가 발휘 된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는다. 김선영 대표가 오랜 기간 해외 IR은 대부분 직접 챙길 정도로 해외 시장을 중요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실제로 글로벌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도 2019년과 2020년, 2021년 등 여러 차례 헬릭스미스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국내 증권사도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 임상3상 실패 이후인 2019년 이후 단 한건의 보고서를 내지 않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 역시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이데일리는 글래스루이스에 시가총액이 작은 헬릭스미스가 여러차례 다뤄지는 이유와 분석을 의뢰한 주체와 비용 지불 주체에 대해 질의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