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매물은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올해 초 5만 1180건이던 서울의 아파트 매물량은 3월 초 5만7500여건으로 늘어나더니 이날 기준 6만1703건을 기록하고 있다. 경기도도 상황은 비슷하다. 올해 초 10만 2000~3000여건을 오가던 아파트 매매 매물량이 이날 기준 11만 8463건으로 늘어났다. 정부가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역대급으로 인하해 세금부담이 줄어 매물을 거둬들이리라 보는 이가 많았지만 실제 시장에선 여전히 부담을 느끼고 있단 반응이다.
현재 공정가액비율은 종부세 기준 60%인데 최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18%가량 낮아지며 종부세가 줄어들자 정부는 공정가액비율을 80%까지 상향 조정하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80%로 올리면 보유세가 그만큼 오르게 된다. 제도가 도입된 2009년 이후 2018년까지 80%였는데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정부는 이 비율을 2019년 85%, 2020년 90%, 2021년 95%로 높였다. 지난해 집값이 급락하는데 세 부담은 크자 정부가 공정가액비율을 60%로 낮췄다.
현재 부동산 거래 시장에선 매수자가 급매 아니면 매입을 꺼리고 있고 분양 물량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공정가액비율 상향까지 이뤄진다면 주택 시장의 혼조세가 상당 기간 이어지리라 내다봤다.송 대표는 “일시적으로 급매물 위주로 거래량이 늘고 있지만 급매물을 소진한 후 호가를 올리면 또다시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며 “아직은 매수자 우위 시장으로 웃돈을 얹어 살 요인을 못 느끼고 있는 데다 청약 규제 완화로 당첨의 기회가 늘면서 구축보단 신축을 사려는 수요까지 겹치고 있어 공정가액비율 상향까지 이뤄질 시 주택 시장 활성화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경기 둔화 등 악화하는 거시환경이 매수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급매물 저가 거래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일부 가격 바닥 인식이 있는 단지와 지역을 중심으로 반등 거래가 성사되는 등 시장의 혼조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