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이 2700억원을 벌며 겨우 적자를 면한 데 이어 SK하이닉스는 아예 영업손실을 냈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재고 증가 및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어닝쇼크로, K-반도체가 사상 초유의 위기에 봉착한 것이다. 올해 하반기 수요회복에 따른 업사이클(업황 개선)을 기대하는 눈치지만 “메모리 중심의 사업구조를 하루빨리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상대적으로 경기를 덜 타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1위 대만 TSMC가 ‘나 홀로’ 견조한 실적을 쌓는 이유다. 무엇보다 TSMC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등 비메모리 육성을 위해선 대만 등 경쟁국과 같은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지만 우리 국회·정부의 지원은 여전히 ‘나 몰라라’하는 수준이다. 우리 수출의 20%를 담당,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던 반도체가 휘청이면서 우리 무역수지 적자에도 지속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
같은 기간 TSMC가 매출액 약 25조6800억원, 영업이익 약 13조3400억원을 기록, 순항한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대만 입법원은 지난 7일 반도체 기업에 연구개발(R&D) 비용의 세액공제율을 15%에서 25%로 높이고 새 장비 구매 투자도 5%의 세액공제를 추가한 ‘대만판 반도체법’을 처리했다. 이에 TSMC는 “올해 R&D 투자를 20% 늘리겠다”고 화답, 정부·국회·기업 간 선순환 고리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