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대통령 탄핵을 재료 삼아 반등하던 한국 증시가 외국인 엑소더스라는 악재를 만났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부 해소됏으나 통화정책 등 매크로 리스크가 다시 투자심리를 지배하는 모양새다. 주가 하락으로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에 도달하긴 했으나 외국인의 ‘바이코리아’(Buy Korea)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형국이다.
| 코스피 종가가 전 거래일보다 32.16포인트(1.29%) 내린 2,456.81로 집계된 17일 오후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4.06포인트(0.58%) 내린 694.47으로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
|
17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9%(32.16포인트) 내린 2456.81에 장을 마감했다. 비상계엄 패닉셀을 극복한 개인투자자가 돌아오고 기관이 15거래일 연속 사자를 이어갔으나 외국인이 7121억원 규모의 폭탄 매물을 쏟아낸 탓이다. 이달 들어 가장 큰 규모의 순매도다. 이들은 코스닥 시장에서도 1239억원어치 순매도를 기록하며 약세장을 이끌었다.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있음에도 외국인은 아직 한국 증시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비상계엄 직후인 4일 이후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만 2조5000억원 가까이 내다 팔았다. 매도 상위 종목에 삼성전자(005930)와 KB금융(105560), 현대차(005380) 등이 포함됐는데 시가총액 비중이 큰 대형 종목이거나 밸류업 프로그램 수혜로 올해 증시 주도주 역할을 했던 금융주다. 중장기적으로 증시 반등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매도에 나선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시가총액 기준 외국인의 코스피 보유 비율은 연내 최저 수준인 32.29%까지 떨어졌다. 지난 10월30일 33%가 무너지더니 이제 32%대도 장담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코스닥 시장 보유 비율은 9.89%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탄핵안 가결 이후 2500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했던 코스피 지수가 연이틀 하락했다”며 “정치적 불안 해소라는 재료는 이미 소멸됐으며 향후 미국의 통화 정책 등에 대한 경계심리에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됐다”고 진단했다.
한국 증시가 주춤한 사이 미국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외국인 투자자의 관심을 빼앗긴 것도 악재다. 여기에 비상계엄 이후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환차손에 의한 투자 매력도도 감소한 상황이다. 1400원대였던 환율은 1440원 수준까지 올라왔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최근 달러화의 강세 확대로 한국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의 행보에 영향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외국인의 이탈이 이어지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수급 유입을 이끌 이벤트가 없어 지지부진한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개인투자자와 기관 중심의 수급이 유입되고 있는 만큼 낙폭과대 종목 중 외국인 비중이 적은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투자기회를 엿볼 수 있다. 대형주 중에서는 외국인 매수세가 강한 종목을 우선 살펴봐야 한다.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치 리스크는 완화되었음에도 외국인 순매도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단순히 국내 증시가 저평가되었다는 점 외에 매수유인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지난주 텍사스교직원연기금이 성과가 부진한 신흥국 비중을 줄이는 벤치마크 변경을 결정했다는 점도 순매도 요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