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의 말처럼 현대차도 미래 모빌리티 핵심 전략을 전기차와 SDV로 세웠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까지 전기차 200만대 판매·2025년까지 전 차종 SDV 전환 등이다.
|
전동화 기술 역량의 핵심 축은 인력이다. 기술 주기가 길던 과거와 달리 변화 속도가 빨라진 지금, 현대차는 새로운 인력 구성을 고심하고 있다. 윤 실장은 “현대차는 더 이상 자동차, 기계 회사가 아니라 서비스를 포함해서 소프트웨어까지 다루는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며 “실제로 채용 홈페이지를 보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한 70~80% 뽑고 있는 걸 알고 계실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R&D 조직을 현재 전동화 설계 및 시험, 배터리 등으로 재구성했다. 엔진, 변속기 등 파워트레인으로 구분하던 기존 조직을 확 바꾼 것이다. 기술 특허를 관리하는 IP 조직 역시 변화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020년만 해도 엔진·변속기 관련 특허를 250건 이상 출원해 왔지만 올해는 그 수가 25~30%가량 줄어들었다.
현대차는 유실 인력이 없도록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류 팀장은 “많은 고급 연구인력이 현대차에서 일을 하고 있고 이들의 역량이 상당하다”며 “이들을 전동화로 전환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인 만큼 회사도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했다.
R&D와 IP 분야 인력의 재배치에 집중한 이유다. 현대차는 전환 과정에서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연계성에 집중한 재배치 전략을 짰다. R&D 부문에서는 기존 연구 분야와 관련성이 높은 기술 분야로 연계하는 경우가 잦다. 전동화 부품 중 기존 업무 분야와 가장 유사한 분야로 재배치하는 동시에 기존 연구도 진행하며 업무 혼란을 줄였다.
다만 류 팀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원 개인의 의견”이라며 “의견 수렴을 많이 진행해 하고자하는 분야로 재배치한 경우가 가장 많다”고 강조했다.
철저한 재교육을 통한 생산성 확보도 중시한다. 재배치 인력은 최소 2~3개월에서 길게는 1년까지 전동화 관련 온·오프라인 교육을 받는다. 사내 교육뿐만 아 외부 세미나도 적극 활용한다.
이에 대해 류 팀장은 “인력 재배치를 하면 신규 업무가 생길 수밖에 없으니 중요한 것은 이를 어떻게 준비하느냐다”며 “전동화 기술 교육을 필수로 진행해 신기술 분야에 제대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