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9일(현지시간) 공개한 모델3 첫 생산 모델. |
|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3만5000달러(약 4000만원)의 첫 보급형 차량인 `모델3`를 9일(현지시간) 처음 공개했다. 이날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지만 이미 전 세계적으로 40만대가 사전 예약됐다.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가 오고 있다. 그러나 현실이 녹록지 않다는 걸 증명하는 사례는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홍콩에서는 올 3월까지 8만~9만달러(약 1억원·보조금 미포함)에 달하는 테슬라의 고급 전기차 `모델S`, `모델X`가 2939대 등록됐다. 1년새 1500대가 팔려 등록대수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홍콩정부가 4월1일부로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폐지했고 상황은 급반전했다. 이후 7월초까지 단 한 대도 팔리지 않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홍콩 교통당국 데이터를 인용, 보도했다. 보조금 혜택이 없어지자 7만5000달러였던 `모델S` 현지 소비자가격이 13만달러로 73%나 뛰었고 소비자의 발길은 뚝 끊겼다. WSJ은 “보조금이 전기차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본고장 미국에서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존 친환경 정책을 뒤집고 화석에너지 중심정책을 펼치려 하고 있기 때문. 각 주(州)정부도 전기차 확대에 일등공신 역할을 해 온 전기차 대상 감세·보조금 혜택을 앞다퉈 줄이고 있다. 조지아주가 대표적. 최근 2015년 시행했던 전기차 보조금 5000달러(약 570만원)를 없애고 오히려 가솔린차와 같은 200달러의 등록비를 내도록 했다. 그러자 월 1300대에 달하던 전기차 판매량은 97대로 뚝 떨어졌다. 일리노이와 인디애나주도 유사한 법안이 주의회에 발의됐다. 콜로라도와 유타주를 비롯한 25개주도 이를 추진 중이다. 결국 테슬라의 올 상반기 판매량은 4만7000대로 기대에 못 미쳤다. 특히 2분기엔 2만2000대로 1분기 판매(2만5000대)에도 못 미쳤다. 늘곤 있지만 증가폭은 실망스럽다.
그 배경에는 트럼프 정책과 정유회사의 막강한 로비력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배터리 가격이 전기차 대중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상당 부분을 좌우한다. 업체들은 전기차가 대중화할수록 배터리 성능이 좋아지면서 가격은 떨어진다고 각국 정부를 설득했고 보조금을 받아냈지만 각국 정부의 인내심도 벌써 바닥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가 2015년 도입한 전기차 보조금도 기껏해야 5년 전후, 그나마도 1대당 혜택은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다. 투입할 수 있는 국가 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중국 정부는 전기차 제조과정에 막대한 지원금을 쏟아붓고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수십 년 넘게 뒤진 경쟁력을 전기차 시대를 앞당김으로써 일거에 뒤집겠다는 야심찬 포부다. 그 결과 지난해 전기차 생산량 87만3000대 중 43%(맥킨지 보고서)를 차지했다. 막대한 자원 수익을 바탕으로 전기차 활성화에 나선 노르웨이는 벌써 전체 등록 차량의 4분의 1이 전기차다. 그러나 이 역시 보조금에 의존하는 전기차의 현실을 보여준다는 점에선 다른 곳과 상황이 다르지 않다. 전기차 확대를 모색하는 미국 비영리단체 플러그인 아메리카의 조엘 레빈 사무국장은 “전기차는 여전히 보조금이 있어야 클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기술 선점을 위한 자국의 투자 확대를 촉구했다.
| 중형 자동차 포커스를 기반으로 한 포드의 전기 콘셉트카. AF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