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연자본 공시 대응을 위한 기업의 준비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삼일PwC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플랫폼이 기획한 ‘자연자본 및 생물다양성 이슈 시리즈’의 두 번째 보고서다.
|
TNFD 권고안은 기업의 자연에 대한 의존성(Dependencies), 기업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Impacts), 자연자본 손실과 생물다양성 감소로 인한 위험(Risks)과 기회(Opportunities) 등 4가지 요소(DIRO)로 구분해 자연자본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식별·평가·관리·보고한다. 여기서 의존성은 TCFD와 가장 차별되는 요소로 꼽힌다.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과 기회에 더 집중하는 TCFD와 달리, TNFD는 기업이 자연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것을 핵심 요소로 보기 때문이다.
현재 전 세계 502개 기업이 TNFD 권고안에 따른 공시를 약속했다. TNFD의 공식 의견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총 시가총액은 약 6조 5000억달러(약 8900조원)에 달한다. TNFD 공시를 약속한 금융기관은 129개이며, 총 운용자산 규모는 17조 7000억달러(약 2경 4200조원)다. 이런 움직임에 따라 앞으로 기업의 자연자본 공시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보고서는 자연자본 공시에 사전에 대비해 자연 관련 리스크를 완화하고 새로운 가치창출의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기업의 경영진과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거버넌스 기구부터 자사의 비즈니스 활동과 자연자본 간 상호작용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로 기업은 TNFD 권고안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존의 다른 공시 기준을 고려한 포괄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기후 변화 및 자연 관련 공시 규제가 실제로 도입되면, 기업은 사전 수립한 전략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스티븐 강 삼일PwC 지속가능성 플랫폼 리더는 “자연자본과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정부와 기업이 공조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했다”며 “기후 변화에 이어 자연 관련 공시는 기업에 부담이 아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작용할 수 있어 기업은 글로벌 동향을 살피며 선제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삼일PwC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