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처장은 25일 오전 10시부터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포럼에 참석해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검찰개혁 시즌2’에 대해 “수사 검사가 공판에 들어가지 않으면 공소 유지가 어려워 분리가 맞지 않는다는 의견도 많은데 경청할 만하다”며 “수사·기소 분리는 그런 면까지 생각해서 명분과 보완책을 갖추며 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여당 내 강경파 주도로 입법에 속도를 내고 있는 중대범죄수사청 설치에 대해선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이에 대해 “어느 날 갑자기 (제도가) 확 바뀌면 변론권 등에 영향을 받으며 국민이 가장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며 “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서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김 처장은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대두될 수 있는 대통령 등의 비위 사건에도 정치적 중립성이 담보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 처장은 ‘청와대에서 전화가 오면 받을 것이냐’고 묻는 질문에 “대통령과 핫라인이 설치된 것이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외압 가능성을 일축했다.
이날 김 처장은 전국민적 관심사인 ‘1호 사건’에 대해 구체적 언급은 피했지만, 선정 기준과 관련해서도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했다. 그는 “공수처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을 알기 때문에 공개 수사를 해야 할 사건이라면 공개할 예정”이라며 “사건 선정에서 정치적 중립성이 담보돼야 하기 때문에 심의위원회 등을 둬서 사건 선정에 국민의 적절한 의견을 들을 생각이 있다”고 설명했다.
공수처가 수사권을 검찰·경찰과 나눠 행사해 수사기관 간 사건 이첩 문제가 생기고 이 지점에서도 정치적 중립성 문제가 따를 수 있다는 우려도 불식시켰다. 김 처장은 “국가반부패수사역량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는 취지에 있어 ‘공정성’에 기초해 이첩 요청을 할 것”이라며 “공정하냐 보다 공정해 보이냐가 더 중요할 수도 있는 지점이기 때문에 수사 진행 여부 등을 고려해 법에 따라 권한을 행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처장은 사건 이첩 요청으로 인해 수사 기관 간 충돌이 있지 않겠냐는 지적도 정면 반박했다. 그는 “수사 기관별 비위가 있다면 상호 견제해야 하지만, 수사 관련해선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국가 반부패수사 역량 면에서 투명한 대한민국을 위해 빈틈 없는 수사 기관 협력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