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가파르게 불어나면서 비교 가능한 26개국 가운데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여기에 기업부채까지 급증하면서 민간부문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픽=김일환 기자) |
|
3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8.1%를 기록했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92.0%)보다 16.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중 유일한 두자릿수대 증가 폭이다. 슬로바키아는 같은 기간 9.1%포인트, 일본이 7.7%포인트, 요르단이 6.0%포인트 증가했다. 이어 룩셈부르크(3.9%포인트), 칠레(2.8%포인트), 스위스(2.5%포인트), 독일(2.3%포인트) 순이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 절대 수준은 스위스(130.6%)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미국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오히려 감소했다.
기업부채 역시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증가폭이다. 기업들의 사정이 악화하면서 현금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회사들의 부채 증가가 기업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 한국의 민간부채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한국의 민간부채 비율은 11위였는데 지난해 2위까지 높아졌다.
중앙정부 부채도 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정부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했다. 중앙정부 부채 비율은 2017년(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했다.
절대 비율로는 일본(261.3%), 이탈리아(144.4%), 미국(121.4%), 프랑스(111.7%) 등 주요 7개국(G7)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축통화 보유국이 아니어서 이들과 단순 비교가 어렵고, 우리 정부부채의 대외채무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8월 17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현수막.(사진=연합뉴스) |
|